1233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 경기도의 광역도서관인 경기도서관이 지난 10월 25일 정식 개관한 가운데, 개관식에서 내빈소개·축사·의전 등이 없었던 것에 대해 경기도의회 유호준 의원(남양주 다산·양정)이 경기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경기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자칫 내빈 중심, 의전 중심으로 시작할 수 있었던 경기도서관이 개관식부터 내빈소개·축사·의전 등을 생략하며 진짜 도민 중심 경기도서관으로 출범했다”라며 경기도서관의 결단에 박수를 보냈다.
지난 10월 25일 경기도서관이 진행한 개관식은 내빈소개·축사를 비롯한 불필요한 의전은 생략한 대신 다양한 공연과 이벤트를 마련해 첫날 방문자만 2만 명을 넘기는 등 매우 성대하게 치렀다.
유 의원은 이에 대해 “내빈소개·축사 등을 생략하는 과정에서 경기도서관의 고민이 많았을 텐데, 과감히 결단한 덕분에 경기도서관의 출범부터 도민 중심 도서관이라는 호평을 받았다”라며 경기도서관이 의전을 생략하는 과정에서의 고민과 결단을 높게 평가했다.
이어서 유호준 의원은 개관식에 2만 2천 명가량 참석했음에도 관련하여 행사장에 참가자들이 몰려 위험한 상황이 여러 번 연출되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예상 참석자의 수가 일정 수준 이상이라면 안전관리계획을 사전에 수립하고 준비가 충실했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한 것 같다는 것이 대부분 참석자들의 증언”이라며 참석자들의 이야기를 전했다.
유 의원은 “많은 사람이 몰릴 것을 예상했다면 그 규모에 맞는 안전관리계획을 세우고, 인력 등을 확보했어야 한다”라며 경기도서관 개관식의 안전관리 대책이 미흡했음을 지적했다.
윤 관장은 “안전관리 준비가 미흡했다는 지적은 겸허하게 수용하며 향후 이와 같은 행사를 기획할 때는 그 무엇보다 안전관리 대책 수립을 최우선으로 판단하겠다”라며 개선 의지를 드러냈다.
이후 경기도서관의 공공·작은도서관 지원 기능을 강조하기 위해 “작은 도서관들은 도서대출, 독서 프로그램 기획·운영 등 여러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공공도서관과 연계된 지원을 늘려야 한다”라며 작은 도서관 지원 확대를 강조했다.
유 의원은 지역구인 다산동에 위치한 정약용도서관을 언급하며 “정약용도서관 같은 규모 있는 공공도서관을 권역 내 작은도서관을 지원할 거점 공공도서관으로 지정하고 이를 거점으로 하는 작은도서관 지원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라며 권역별 공공도서관 지원을 통한 작은도서관 지원 체계 구축을 주문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