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형 멀티플렉스 상영관을 중심으로 이동통신사나 신용카드사와 제휴,영화관람료를 할인해주고 있지만 신경을 더 쓰면 시사회를 통해 미개봉 영화를 아예 공짜로 볼 수 있다.
시사회는 영화 감독 등 일부만 참여하는 ‘기술시사회’,영화 제작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이 보는 ‘스태프시사회’,극장주를 대상으로 한 ‘배급시사회’,평론가와 기자들을 위한 ‘기자시사회’,그리고 일반인을 겨냥한 ‘일반시사회’ 등으로 나뉜다.특히 일반시사회의 경우 인터넷 포털사이트와 영화전문사이트를 통해 티켓을 배포하고 있어 오후 8시30분 이후에 시작하는 상영일정과 스카라극장·시네플러스·드림시네마 등 상영장소에 맞출 수 있다면 응모해 볼 만하다.
다음은 대표적인 시사회 사이트.
●시네통(www.cinetong.com)
회원 가입 후 시사회 응모가 가능하며,시사회 외에도 단체관람이나 개봉 전야제 등을 이용해 싼 가격으로 영화를 즐길 수 있다.또 3만 3000원을 내면 6개월간 최소 5편의 시사회 티켓을 보장하고,온라인에서 300여편의 영화를 무제한 볼 수 있다.
●엔키노(www.nkino.com)
영화전문잡지 ‘키노’를 만드는 회사에서 운영하는 사이트로 회원(무료) 가입만으로 시사회 응모가 가능하다.또 사이트에는 영화와 관련한 다양한 읽을거리와 참여의 장이 마련돼 있다.
●무비위크(www.movieweek.co.kr)
주간 영화전문 잡지사가 운영하는 사이트로 최신 시사회가 끊이지 않는다.읽을거리는 엔키노와 비슷하지만,영화계 구인구직 게시판이 있어 영화계 진출을 꿈꾸는 이들은 주목할 부분이다.
●네이트(movie.nate.com/event)
가장 유명한 포털사이트로 다양한 최신 시사회 정보가 오가는 곳.물론 회원(무료) 가입은 필수.
●온리뷰(www.onreview.co.kr)
영화전문사이트 온키노(www.onkino.com)와 자매 사이트로 ‘리뷰’가 강해 영화에 대한 평을 읽어보기 위해 한번쯤 가볼 만한 곳.역시 회원(무료) 가입만 하면 시사회 응모가 가능하며,시사회를 본 뒤 리뷰를 올리면 다음번 시사회 당첨 가능성이 커진다.
이경헌 시민기자 ceo@happychange.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