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격자들은 다른 고시 과목처럼 크게 힘들여 공부할 필요까지는 없지만 꾸준히,반복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공부할 필요가 있다는 데 입을 모았다.
동시에 나이 많은 수험생들은 확실히 PSAT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례가 많았다는 데도 의견이 일치했다.
박경진(29)씨는 “적응이 안돼 상당히 고생했다.”면서 “그나마 헌법과 한국사가 있어서 겨우 1차 시험을 통과했다.”고 털어놨다.5∼6년 외시를 준비했지만 PSAT 문제를 처음 접하고는 “내 체질이 아니다.”는 느낌을 받았다 한다.본인이 수능세대에 속했는 데다 와닿지도 않았다.
그는 “모의고사나 문제집을 풀 때 지문 한번 읽기도 벅차다 보니 겨우 30문제 정도 밖에 풀지 못했다.”면서 “이 때문에 지난해말 감을 익히기 위해 PSAT만큼은 손에서 놓지 않았다.”고 말했다.지난해 11∼12월 PSAT를 집중적으로 공부한 뒤 올해 들어서는 주중에 2차 시험,주말에 PSAT 공부에 시간을 투자했다.
강지현(27·여)씨는 상대적으로 별다른 부담을 느끼지 않았던 케이스.몇차례 모의고사를 통해 문제 유형을 파악한 뒤 혼자서 꾸준히 공부하면 충분하다는 자신감을 얻었기 때문이다.
강씨는 “물론 점수가 잘 나오는 학생들도 있었지만 나의 경우 많이 공부한다고 점수가 무한정 올라가는 시험은 아니라고 느꼈다.”면서 “그 때문에 PSAT는 남들 하는 정도의 점수만 얻으면 충분하다고 봤고,주로 2차 위주로 공부했다.”고 말했다.그러나 하루에 30분씩은 꼭 시간을 내서 PSAT문제를 꾸준히 풀었다고 소개했다.
박지웅(26)씨는 언어논리영역에 대해 폭넓은 준비가 필요할 것이라는 의견을 냈다.박씨는 “지문이 길고 다른 과목처럼 답이 똑 떨어지지 않는 과목이 바로 PSAT”라면서 “한 문제를 볼 때 바로 느낌이 와서 답을 적지 못하면 시간이 부족할 수밖에 없어 모의시험 때마다 허덕였다.”고 말했다.
특히 언어논리 영역에 대해서는 “정말 어떤 방법이 있다라고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지문과 문제가 나왔다.”면서 “틈틈이 시간내서 단순 교양서 수준 이상의 책을 봐야 충분히 문제를 풀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