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건설교통부와 서울시에 따르면 9일 서울시·철도청·경기도·인천시 등 관련 지자체와 건교부 수송정책실 교통담당 국장급이 수도권 지하철 정기권 발행방안을 논의했으나 입장차만 확인했다.
이날 회의에서 서울시는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 서울시·경기도·인천시가 각각 정기권을 발행하고,정기권 이용자가 지자체 경계를 넘어가면 그 비용을 해당 지자체간에 정산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시는 또 철도청이 수도권에서 사용하는 ‘수도권 정기권’도 발행토록 하고,할인 비용에 대해서는 승객의 사용범위에 따라 해당 지자체가 부담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는 “합리적인 방안이 나오면 시민을 위한 비용을 부담하겠다.”는 긍정적 입장인 반면,경기도는 정기권 도입 자체에 반대했다.철도청은 정기권 도입에는 원칙적으로 찬성하지만,무제한 사용 등 세부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반대했다.
철도청은 특정 출발지역과 도착지역을 정하거나 사용 거리나 횟수를 제한하는 등 손실을 줄이는 방안이 정기권 발행에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그러나 “각 지자체와 철도청이 해당 소비자들을 위해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의지만 있으면 문제 해결은 어렵지 않다.”고 말했다.시는 교통개발연구원·철도기술연구원·시정개발연구원 등 중앙부처와 각 지자체 산하 연구기관이 함께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도 시내 지하철공사와 도시철도공사 구간에 계획대로 정기권을 판매한다는 방침을 거듭 밝혔다.철도청과 이들 지자체는 12일 건교부에서 다시 회의를 갖는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