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7일 서울광장에 스케이트장을 설치키로 하고 아이스링크 컨설팅 전문업체 S사에 설계 및 용역을 맡겼다고 밝혔다. 이번 주 공사에 들어가 오는 24일 개장한다.
|
규모가 작아 스피드스케이팅은 어렵고 피겨스케이팅만 즐길 수 있다.
70∼80명이 이용할 수 있으며 인공제빙기로 빙판을 만든다. 스케이트장 설치엔 모두 2억여원이 투입된다. 스케이트장 외곽에는 안전펜스가 설치되며 무료로 운영된다. 스케이트는 실비를 받고 대여해 준다.
시 관계자는 “공사기간을 보름 정도 잡고 있다.”면서 “크리스마스전날 개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스케이트장은 조립식으로 만들어지며 봄이 되면 해체돼 광장으로 다시 조성된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운영돼 야간에도 스케이트를 즐길 수 있다. 그러나 소규모 스케이트장에 적지 않은 예산이 투입돼 전시행정이라는 지적도 일고 있다.
행정개혁시민연합 장세철 시민감시팀장은 “스케이트장을 설치하면서 시민의견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것 자체가 문제”라며 “예산낭비나 전시행정 문제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의견은 찬반으로 갈리고 있다. 대학생 박모(23·영등포구 대림동)씨는 “어린이들이 얼음을 지치는 모습 자체만으로도 삭막한 도심에 생동감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피력했다.
그러나 직장인 최모(32·여·서대문구 창천동)씨는 “‘불도저’라는 별명에 걸맞게 이명박 시장의 전시행정이 지나치다는 생각”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한강시민공원내 여의도·이촌·잠실 스케이트장도 13일 개장할 예정이다. 중순 무렵에는 월드컵공원 난지천 공원에 전통 썰매장이 문을 열어 썰매를 타고 얼음을 지칠 수 있게 된다.
고금석기자 ksko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