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안동시에 따르면 중요무형문화재 제69호인 하회별신굿 탈놀이가 6일 시연식을 시작으로 하회마을 전수회관에서 상설공연을 갖는다.
오는 11월까지 매주 일요일마다 공연되며,5월부터 10월까지는 토요일에도 한 차례 더 열린다. 전체 열마당 가운데 무동과 주지, 백정, 할미, 파계승, 양반선비마당 등 6개 마당이 공연되며 관람료는 없다.
올해 공연에서는 관람객이 직접 탈놀이에 참여해 신명과 감흥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기념촬영하기, 탈춤 따라 배우기 등 다채로운 체험 프로그램도 마련할 예정이다. 하회별신굿 탈놀이는 올해 로또복권 기금을 지원받아 60여 차례의 주중 공연은 물론 미국·일본·러시아 등 해외에서도 공연할 계획이다.
하회별신굿 놀이의 유래는 하회마을에 살던 상민들이 탈을 쓰고 굿판을 벌인 12세기 중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뒤 800여년동안 마을의 무사안녕과 풍년을 비는 동제의 한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
1년에 한번, 정월 대보름에 지내는 일반적인 동제와 달리 하회별신굿 탈놀이는 5년이나 10년만에 한번씩 열렸다.
하회별신굿 탈놀이 보존회 류동철 회장은 “별신굿 탈놀이를 국내외 관광객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설공연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안동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