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고위 관계자는 18일 “공공기관을 유치하기 위해 시·도가 함께 노력한다는 데는 원칙적으로 찬성한다.”고 전제한 뒤 “그러나 신도시 건설은 이전 기관의 성격 등을 고려해서 결정해야 하는 만큼 시·도 경계지역 혁신도시 건설제안은 수용하기 힘들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전대상 기관이 해양이나 농업 분야일 경우 기관의 기능상 시·도 경계지역만을 고집하는 것은 현실성이 없다.”고 덧붙였다.
이는 공공기관 유치를 위해 광주·전남이 공동 노력하되 시·도 인접지역의 혁신도시 건설이란 광주시의 제안은 수용할 수 없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박광태 광주시장이 최근 “전남도와 협의해 시·도 경계지역에 20여개의 공공기관을 집단 배치할 수 있는 인구 5만명 규모의 신도시건설 계획을 정부에 건의했다.”고 밝힌 이후 전남도가 처음으로 밝힌 공식 반응이다.
전남도의 이같은 입장은 시·도 경계지역에 공공기관을 기반으로 한 신도시가 건설될 경우 사실상 이 도시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는 광주시로 빨려들 수밖에 없다는 현실적 우려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 이전을 둘러싸고 시·도간 갈등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