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100만원미만 가구 13.7%
또 시민들은 주거비와 사교육비에 80만∼120만원을 쓰고, 국민연금과 보험으로 노후를 대비하면서 ‘약간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13일 서울시가 발표한 ‘2004 서울서베이’를 통해 엿본 모습이다.2만가구, 사업체 5000곳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
소득의 대부분은 주거비(26.1%)와 사교육비(13.7%)에 사용됐다. 지난 1년 동안 즐긴 스포츠·레저활동은 등산이 41.9%로 가장 많았고, 여행(34.5%), 헬스클럽(15%), 수영(14.6%), 스키(7.7%) 등이 뒤를 이었다.
노후준비(복수응답)는 연금에 의존하는 비율(64.1%)과 보험을 이용한다는 비율(63.8%)이 비슷했다.
●강남·북 격차는 여전
시 전체를 ▲도심권(종로·중·용산구)▲동북권(성동·광진·동대문·중랑·성북·강북·도봉·노원구)▲동남권(서초·강남·송파·강동구)▲서북권(은평·서대문·마포구)▲서남권(양천·강서·구로·금천·영등포·동작·관악구) 등 5개 권역으로 나눠 살펴본 결과 강남지역이 포함된 동남권이 학력과 소득·주거만족에서 높게 나타났다.
가구주가 4년제 대졸 이상인 비율은 동남권이 36.1%로 가장 높았고 서남권(24.8%), 도심권(22.6%), 동북권(22.3%), 서북권(21.1%) 순이었다. 학력차이는 소득격차로 드러나 월소득 400만원 이상 가구비율이 동남권은 타 권역의 두배 수준인 20.1%나 됐다. 도심·서남권(10.5%), 동북권(8.8%), 서북권(8.7%)과 큰 차이를 보였다.
평당 아파트 가격은 동남권(1438만원)이 가장 높았고 도심권(1026만원)-서남권(848만원)-동북권(776만원)-서북권(770만원) 순으로 낮았다.
그러나 주민들이 느끼는 행복지수는 권역별로 6.3∼6.6점으로 나타나 큰 차이가 없었다. 시민들은 지역에 관계없이 ‘약간 행복하다.’고 응답했다.
고금석기자 kskoh@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