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19일 올 1분기에 외국인이 취득한 서울시내 토지는 2만 1700여평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9200여평,4분기의 1만 7300여평에 비해 각각 125.0%,25.5% 증가했다고 19일 밝혔다. 반면 올 1분기에 외국인들이 처분한 토지는 3000여평에 불과했다. 순수 취득 면적은 지난해 1분기 5600여평,4분기 8000여평에서 올 1분기에는 1만 9000여평으로 대폭 늘었다.
●외국인 투자 증가가 원인
전체 외국인 보유 서울시내 토지도 지난해 말 91만 7400여평에서 올 3월 말 93만 4000여평으로 3.1% 증가했다. 여의도 전체 면적의 3분의 1 규모이고, 공시지가로는 7조 7600억여원에 이른다. 전국의 외국인 보유 토지는 4850만여평(공시지가 23조 7000억여원)이다.
외국인들이 지난해보다 서울시내 땅을 더 많이 사들이는 것은 올들어 노사관계와 대북관계가 안정됐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에 따라 외국인 투자가 늘면서 땅을 많이 매입했다는 분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외국인 거주자를 위한 아파트와 투자를 위한 상업용지가 각각 113건,51건을 기록하면서 증가세를 주도했다.”고 말했다. 전체 260건 가운데 60%가 넘는다.
외국인들이 본격적으로 서울 땅을 사기 시작한 것은 IMF때인 1998년부터다.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취득이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바뀌면서 늘기 시작했다.98년 47만여평에서 ▲99년 40만여평 ▲2000년 60만여평 ▲2001년 66만여평 ▲2002년 76만여평 ▲2003년 87만여평으로 2000년대 들어 매년 10% 이상 늘었다. 다만 지난해에는 경기 침체와 부동산가격 상승으로 5% 증가에 그쳤다.
●금천구가 가장 많이 늘어
자치구별로 외국인 토지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금천구다. 한국씨티은행이 독산동에 공장용지로 매입한 7000여평을 포함해 모두 1만 2000여평이 증가했다. 외국인 보유 면적으로는 노원구가 1위로 모두 11만여평이나 된다. 공시지가 총액으로는 강남구가 1조 9200억여원으로 가장 많다.
보유 주체별로는 외국인 투자 회사 등 법인이 38만여평(40.7%)인 것을 비롯해 ▲교포 36만여평(38.6%) ▲외국 정부 및 순수 외국인 19만여평(20.7%) 순으로 나타났다.
출신 지역별로는 40만여평(42.9%)을 가진 미국 국적이 가장 많았다. 이어 ▲유럽 17만여평(16.8%) ▲중국 13만여평(13.0%) ▲일본 및 기타 25만여평(27.3%)의 분포를 보였다. 토지 용도별로는 ▲주거용지 28만여평(29.8%), 상업용지 26만여평(26.2%), 공장용지 10만여평(10.0%) 등의 순이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