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구는 29일 정부가 이 일대 8만 4908평에 대해 한방산업 특구로 승인,2008년까지 296억 6500여만원을 들여 관련 사업을 펼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동대문구 한방산업 특구는 대구 약령시에 이어 두번째다. 동대문 서울약령시는 중앙선 등 철도를 비롯, 교통망이 거미줄처럼 뻗어 물류 동선으로서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특구 지정에 따라 일반 주거지역에는 설치할 수 없었던 아치형 등 공동 광고물 설치가 가능하게 됐다. 도로교통법 특례가 적용돼 각종 행사 때 차량통행 금지 등 경찰의 지원을 받을 수도 있다.
또 업소 10개를 한명의 약사가 관리하는 공동약사제를 실시할 수 있어 보다 나은 인력을 유치하고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등 효율을 꾀하게 된다. 동대문구는 각종 개발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약령시를 A∼F구역 등 모두 6개 구역으로 나눠 개발할 예정이다.
구는 우선 관광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내년까지 65억원을 투입, 한의약 전시·문화관을 건립한다. 재래시장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국·시비 44억원을 지원받는 등 모두 54억을 들여 특구내 환경 개선사업을 벌인다.
또 23억원을 들여 조선시대 구휼기관인 보제원 터에 쉼터를 겸한 공원을 만든다. 이밖에 공중화장실을 설치하고, 약령시 축제를 연례화하는 등 각종 사업에 11억여원을 투입한다.
명실상부한 특구 조성을 위해 국내·외 소비자들의 신뢰가 절실하다고 판단, 한약재 품질검사도 강화한다. 한약재 관리표준 기준 부적격률을 1% 미만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품질 인증제도 도입한다.
경희대와 산·학·관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해 건강기능식품 연구·개발 및 상품화에도 힘을 기울인다. 이를 위해 3억원을 책정했다.
이밖에 서울약령시 브랜드와 로고, 캐릭터 등도 개발한다.
이번에 특구로 지정된 지역은 1960년대부터 자연발생적으로 한약재시장이 형성돼 현재 1050여개의 한의학 관련 업종이 몰려 있다. 전국 한약재 거래량의 70%를 차지한다.
홍사립 동대문구청장은 “전국 최대의 한약재 유통시장인 서울약령시를 한방산업의 메카로 육성해 국민건강 증진과 전통 한방 계승 발전을 꾀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