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1호인 숭례문 앞에서 조선시대에 도성의 성곽을 수비하는 파수(把守)의식이 재현된다. 또 내년부터는 조선시대 병사들이 ‘숭례문∼서울광장∼덕수궁’으로 이어지는 태평로를 순찰하는 순라의식을 벌여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도성 지키는 조선시대 병사
서울시는 지난 5월 개장한 숭례문 광장을 서울 도심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로 개발하기 위해 6일부터 조선시대 파수의식 재현 행사와 관련 역사해설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파수의식은 조선시대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을 겪으면서 도성 수비 문제가 대두되자 궁성 수위와 함께 중요한 군례의식으로 꼽혔다.
이번에 재현되는 파수의식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숭례문에서 3명이 1조로 편성된 파수꾼이 30분마다 한 차례씩 교대한다. 숭례문 개·폐시간과 점심시간(낮 12시30분)에는 파수꾼 전체가 순라의식을 거행한다.
서울시는 내년에 숭례문 파수의식을 덕수궁 앞 ‘왕궁 수문장 교대의식’과 연계, 하루에 세 차례씩 ‘덕수궁→서울광장→숭례문’으로 연결되는 순라의식 재현 행사를 추진할 방침이다. 이 행사에는 30명 이상의 조선시대 병사들의 행렬이 이어지게 된다.
●“숭례문 역사도 알려줘요.”
또 서울시는 이달부터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 숭례문 앞에 영어와 일어를 할 줄 아는 서울문화유산해설사를 배치, 숭례문의 역사를 시민이나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자세하게 설명할 계획이다. 서울문화유산해설사는 서울시내 왕궁과 유적지 등에서 우리 역사와 문화를 상세히 설명해 주는 자원봉사자로, 서울시는 반응이 좋을 경우 숭례문의 역사 해설 서비스를 평일에도 제공할 예정이다.
서울시 관광과 이민경 팀장은 “숭례문이 광장 개장과 함께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재탄생함에 따라 숭례문을 찾는 시민들과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상시 프로그램을 기획했다.”고 말했다.
김유영기자 carilip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