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같은 사실은 8일 서울대중교통개편 국제포럼의 발표자로 나선 성신여대 이금숙·박종수 교수의 논문 ‘서울 대중교통 이용자의 이동경로 유형분석’을 통해 밝혀졌다.
이 교수팀은 지난해 10월27일 하루 동안의 서울시내 모든 대중교통 이용자의 이동경로를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해 조사했다.
그 결과 지하철의 경우 구로역, 신도림역, 교대역, 강남역, 동대문역 등의 순으로 이용자 수가 많았다. 주로 환승역과 강남권 진입이 가능한 역에 이용자들이 몰린 것이다.
버스 이용자들은 돈암동, 미아리고개, 인공폭포, 종로2가, 구로디지털단지 등에서 사람들이 많이 타고 내렸다. 반면 이용자수 상위 10개 버스정류장에는 강남권 정류장은 한 곳도 포함되지 않았다. 이는 돈암동, 미아리고개 등은 강북·도봉구 등으로 강북지역으로 오가는 ‘관문’인데다 지하철 등 대체 교통수단이 부족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교수는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모든 이동경로를 담고 있는 데이터를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대중교통의 노선·운행횟수 등을 조정하는 데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하루 교통카드 처리건수는 모두 1008만 8158건이었으며 이 가운데 버스이용은 465만여건, 지하철 이용은 481만여건으로 집계됐다.61만여건(6.1%)은 승·하차 지점이 정확하게 집계되지 않았다. 또 버스 이용자들은 평균 13.6개의 버스정류장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7∼8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서울대중교통개편 국제포럼에서 서울시는 지난해 단행된 대중교통 체계개편에 대해 국제 대중교통연합(UITP)으로부터 ‘우수정책 인증’을 받았다. 한스 랫 UITP 사무총장은 “서울시의 교통개편 결과가 다른 해외도시에도 좋은 선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택시에서의 교통카드 이용, 시 주도 교통정책 탈피해 서비스 수준 제고 등이 향후 이뤄진다면 더욱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UITP는 1885년 설립돼 현재 80여개 회원국을 확보하고 있는 국제기구로, 대중교통 발전을 위해 국제회의와 관련 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고금석기자 ksko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