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는 올 4월1일∼7월18일 시내 노후화 체육시설 12곳에 대해 점검한 결과 1984년 지어진 잠실주경기장과 잠실야구장(82년), 잠실 실내체육관(79년), 잠실 제2수영장(71년) 등 4곳이 B급에서 C급으로 하향 조정됐다고 1일 밝혔다. 특히 80년 완공된 잠실 제1수영장은 2002년 B급에서 사용을 제한해야 하는 D급으로 판정됐다.
사업소 시설관리과 관계자는 “잠실 제1수영장의 경우 관리주체인 서울시 수영연맹의 관리소홀로 시설의 노후화가 가속돼 두 등급이나 떨어졌다.”면서 “지상 2·3층은 마감재의 노후화로 미관성과 사용이 불량한 상태고 슬래브보 등 주요부재에 다수의 누수와 백화 현상이 발생, 안전사고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사업소는 내년부터 연차적으로 모두 263억원의 예산을 확보, 전면보수를 실시할 방침이다. 민자유치를 통해 기존 수영장 골격과 기능을 유지한 상태로 리모델링을 실시한 뒤 워터파크(Water park)로 개발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이번 점검결과 동대문주경기장(26년), 동대문야구장(59년), 효창운동장(60년), 장충체육관(63년) 등은 기존대로 C급 판정을 받았다.89년 나란히 완공된 목동내 주경기장과 야구장, 빙상장 등은 B급을 유지했다.
현행 법률상 10년 이상 경과한 시설물에 대해서는 3년마다 정밀안전진단을 시행토록 돼 있다. 최상의 상태인 A급 아래 B급의 경우 일부 보수를 필요로 하며,C급의 경우 기둥, 보, 슬래브 등 주요 부자재는 괜찮지만 마감부에 대한 보수가,D급의 경우 긴급보수,E급의 경우 허물고 다시 개축할 필요가 있는 시설물에 해당한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