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는 19일 “정율성의 생가로 알려진 남구 양림동 79번지에 대한 고증이 명확하지 않은데다 중국과 달리 한국에는 공헌한 바도 없고, 인지도도 뒤진다.”며 “기념사업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할 수 없다.”고 밝혔다.
시는 이날 이례적으로 정율성의 부모 형제 등 일가 약력을 제시하며 “정율성이 양림동이 아닌 화순 능주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는 보도자료까지 냈다.
남구는 “호적 서류상 기록은 없으나 유족의 회고록과 주변인물 증언 등에 비춰 양림동 태생이 확실하다.”며 “기념사업과 음악제를 예정대로 열겠다.”고 밝혔다.
다음 달 예정된 국제음악제는 남구와 중국 문화부 대외협력국이 공동 개최하고, 중국 정부 고위 인사·관광객 등도 대거 참여할 예정이어서 행사가 무산될 경우 국제적 망신을 사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정율성은 광주 숭일중을 졸업하고 당시 독립운동을 하던 형을 따라 중국으로 건너간 후 1939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그는 팔로군으로 항일 투쟁에 참여했으며,6·25 당시 황해도 선전부장 및 인민군 구락부장을 지내다가 문화혁명 때 ‘간첩’이란 죄명으로 고초를 겪기도 했다. 그는 연안송, 팔로군 행진곡, 조선인민군 행진곡, 조선해방 행진곡 등 수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중국에서는 ‘악성’으로 추앙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