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군 남면 송원리 주민 홍창표(61)씨는 30일 “마을이 뒤숭숭해 설맛이 안난다.”며 “예전에는 설이 끝나면 마을 주민들이 모여 농악과 윷놀이를 하면서 즐겼는데 이번 설은 이런 모습을 볼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설날에는 마을 어른 집을 찾아다니며 세배를 드리고 했는데 올해는 보기 어렵다.”며 주민 간에 보상문제를 놓고 미묘한 감정이 형성돼 서먹서먹해 하는 것 같다고 귀띔했다.
행정도시 건설 발표 후 계속돼온 자식들의 고향찾기도 더 심해졌다. 연기군이 고향인 한 충남도 국장은 “설 아침 고향을 다녀왔는데 예년과 달리 길에 자동차들이 꽉 차 어려움을 겪었다.”고 전했다. 고향을 지키려는 노부모와 보상금 수령을 원하는 자식 간 갈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기군 동면 합강2리 주민 최용운(54)씨는 “고향을 떠나기 싫은 주민들은 마음이 심란한데 자식들은 찾아오고, 플래카드는 여기저기 휘날리고 이번 설은 참 어수선했다.”고 밝혔다.
이런 틈을 타 도굴꾼들도 설치고 있다. 설 1∼2일 전 연기군 동면 용호리 600년 정도된 ‘부안임씨’ 시조의 4째 아들 묘가 도굴 당했다. 임창철 부안임씨대책위원회 사무총장은 “어떤 부장품이 털렸는지 아직 확인이 안되고 있다.”며 “분위기가 뒤숭숭하니 도굴꾼까지 날뛴다.”고 한탄했다.
임 사무총장은 “보상금을 수령한 이들은 주로 외지인”이라며 “우리 문중과 토착민 대부분은 ‘보상을 받지 않겠다.’고 결의까지 하고 있지만 마음이 심란하고 불안해 이번 설은 어떻게 보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연기 이천열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