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교·마전교 밑에도 물 고여
일각에서는 구조안전 문제와 함께 졸속공사 때문이라는 성급한 지적도 나오고 있다.
8일 낮 12시 청계천 시점부. 봄볕에 청계천을 즐기려는 시민들로 제법 붐볐지만 강북쪽 옹벽에는 여전히 물이 흘러내렸다.6∼7일 밤낮없이 보수공사를 벌였지만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마치 가랑비가 내리는 것처럼 물이 튀었고, 바닥은 젖어 색이 바랬다.
한 시민은 “사진기에 물이 튄다.”면서 손수건을 꺼내 물기를 닦았다.
문제는 다른 곳도 물이 샌다는 점. 삼일교 밑엔 30㎝가량 물에 젖은 자국이 뚜렷했고 바닥도 일부 젖어 있었다. 또한 마전교 밑바닥에도 물이 흘러 고여 있었다. 시민 김모(43)씨는 “오늘은 햇볕이 들어 물기가 말랐지만 어젯밤에는 마전교 근처에 물이 흥건히 흘렀다.”면서 “구조에는 문제가 없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최악의 경우 옹벽 헐고 조사
서울시는 아직도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가능성은 3가지이다. 겨울철 얼었던 물이 녹아서 스며나온 현상이거나 ▲지하수의 유입 ▲청계천 900㎜ 원수(청계천에 흘려 보내기 위해 한강에서 끌어오는 물)관과 4개 지선(300㎜)의 누수 등이다.
시가 조사한 결과 일단 해동에 따른 것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시는 8일 밤부터 청계천 원수관과 지선을 조사할 계획이다. 첨단 내시경까지 동원해 조사를 벌인다. 만약 이 작업에서도 원인을 밝혀내지 못하면 지하수의 유입 여부를 조사할 계획이다.
최악의 경우 옹벽을 헐 수도 있다. 장석효 행정2부시장은 “순차적으로 조사를 확대해 근본적인 처방을 하겠다.”고 말했다.
●구조에는 문제 없을 듯
청계천은 콘크리트 옹벽을 쌓고 그 바깥 쪽에 석축을 쌓은 이중구조다. 옹벽에서 배출되는 물은 지하에 모아져 청계천으로 흘러 들어간다. 대부분의 옹벽이 벽의 구멍을 통해 물을 빼내는 것과는 다른 시스템이다.
청계천의 구조 안전에 대한 시민들의 염려도 커지고 있다. 누수가 옹벽의 약화를 초래할수 있는것 아닌가에 대한 우려이다.
서울시는 구조안전에는 문제가 없다고 강변한다. 박호영 청계천관리센터 운영관리부장은 “청계천은 콘크리트로 된 옹벽 바깥에 2중으로 석축을 쌓은 만큼 구조상의 위험은 없다.”고 말했다. 조원철 연세대 토목환경공학과 교수는 “구조안전문제라기보다는 방수공사가 부실해 땅속의 물이 흘러나오는 것”이라면서 “기온이 올라갈수록 지하수의 수압이 더 높아져 누수현상은 더 심해지고 많은 곳에서 나타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무리하게 공기를 맞추느라 마감공사를 부실하게 했다는 지적도 있다.
한 건설업체 토목담당 임원은 “시점부는 개천이 아니라 콘크리트로 이뤄진 구조물로 봐야 하는데 이곳에서 물이 흐른다는 것은 공사가 잘못된 것이 원인일 수 있다.”고 말했다.
박지윤기자 jypar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