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시 묵호동 50여곳의 횟집타운. 이곳 주민들은 지난해말 철조망을 걷어내고 대신 설치한 경관펜스가 깨끗하고 보기 좋아 크게 환영하는 분위기다.
강릉권 동해 바닷가의 백사장이 너울성 파도로 점점 사라지고 있어 사계절 관광지를 꿈꾸는 동해안 개발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사진은 경포해수욕장 백사장 침하 현장. 강릉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 |
이 마을은 해안가에 위치한데다 주변에 까막바위와 문어상 등이 있어 늘 외지 관광객들로 붐볐다. 하지만 낡은 철조망이 둘러쳐져 있어 마을 분위기가 마치 최전방을 연상케 했다.
낡은 전봇대와 거미줄 같이 뒤엉킨 전기·전화·유선케이블선이 깨끗한 바다의 이미지를 훼손하기에 충분했다.
그러나 지난해말 강원도가 아름다운 동해안 만들기 사업을 펼치며 마을은 새롭게 태어났다. 전깃줄 등 모든 케이블은 지중화하고 전봇대를 없앴다.
길이 750m에 이르는 철조망을 모두 철거하고 1m 높이의 예쁜 펜스로 새로 단장했다.
펜스 위에는 조명등을 설치해 야간에도 관광객들이 까막바위와 문어상을 볼 수 있도록 했다.
주변 200m의 방파제도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역시 펜스를 설치했다.
횟집앞 도로를 넓히고 기존에는 주차장으로만 사용하던 공터를 주차공간과 공원으로 꾸몄다. 중구난방으로 난립하던 횟집들의 간판도 깨끗하게 정비된 것이다.
홍기봉 동해시 어업진흥계장은 “공원앞에 있는 2층 규모의 군부대 초소도 부대측과 협의해 내년쯤 새롭게 단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마을이 깔끔하고 새롭게 단장되면서 손님들이 늘어 횟집 상인들도 즐거워하고 있다.
상인들도 자발적으로 허름하고 낡은 집을 리모델링하면서 아름다운 마을 가꾸기에 적극 동참하고 나섰다.
한 주민은 “비록 관광객이 바다로 직접 내려가지는 못하지만 경관 펜스를 설치하고 주변을 현대식으로 새롭게 정비해 놓으니 손님들도 늘고 상인들도 일하는 데 신바람이 난다.”며 활짝 웃었다.
동해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