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대한적십자사에 따르면 적십자 회비를 낸 일반 회원은 474만 900명에 납부율 30.6%, 납부액 352억 7210만 3000원으로 조사됐다. 강원이 납부율 46.6%(21만 2733명)로 최고를 기록했고, 전북(44.4%), 충북(41.7%), 울산(39.4%)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서울의 납부율은 22.8%(78만 6212명)로 가장 낮았다. 인천(24.6%), 경기(27%) 등 다른 수도권 지역도 저조했다.
특히 서울은 모금액도 줄었다. 집중 모금 기간인 1월20일∼2월28일 모금액은 56억 150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억 1800만원이나 감소했다. 목표액 100억원에 턱없이 모자란다. 지난해 총 모금액은 96억 7200만원이었다.
구별로는 광진(37.6%), 강동(29.2%), 노원(27.9%) 순이었다. 반면 중구(17.8%), 강남(19.6%)은 20%에 못 미쳤다.
실제로 적십자 회비 6000원을 내기 위해 은행을 찾았던 한모(66)씨는 그냥 발길을 돌렸다. 지로용지를 가져 갔지만 창구를 이용할 수 없었고,‘무인 공과금 납부기’로 내야 했기 때문이다. 한씨는 “작동법이 너무 복잡한데다 통장이나 은행카드가 있어야 했다.”면서 “전기요금처럼 꼭 내야 하는 것도 아닌데 번거롭기만 해 안 내고 왔다.”고 말했다.
서울지사는 “회비를 주로 납부하는 60∼70대가 ‘공과금 납부기 이용이 번거로워 회비를 내지 못한다.’고 항의한다.”고 설명했다.
전쟁과 재난을 경험, 적십자의 중요성을 아는 60∼70대는 회비 납부율이 높다.60대는 41.6%,70대는 46.3%가 회비를 낸다.20대(10.1%),30대(15.2%)납부율과 대조적이다.
그러나 은행이 공과금 납부기를 도입하면서 60∼70대 참여율이 떨어지고 있다. 은행은 원칙적으로 지로의 창구 수납을 거부할 수 없지만, 일거리가 많다는 이유로 무인 납부기를 권장한다. 올해는 우체국까지 기계를 도입해 회비 걷기가 더 힘들어졌다.
대한적십자사는 지난해 2월 금융감독원을 통해 은행에 창구 수납을 당부했지만 개선되지 않고 있다. 다급해진 적십자사는 인터넷 납부에 이어 올해부터 편의점과 무통장입금으로 납부방법을 확대했다. 그러나 6일 현재 편의점으론 6969만 6000원, 무통장입금으론 2억 778만원만이 접수됐다.
대한적십자사는 “북한동포를 돕는 것은 100% 정부가 지원하는 남북협력기금이고 회비는 모두 영세민과 수재민에게 돌아간다.”면서 “10일까지 계속되는 추가 납부기간에 참여해달라.”고 호소했다.
정은주기자 eju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