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시에 따르면 올부터 2020년까지 15년 동안 모두 569억원을 들여 수질개선을 위한 5개 분야 44개 사업을 펼친다. 시는 현재 동복호에서 하루 평균 27만t을 취수, 전체인구의 65%인 85만여명에게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1985년 댐 축조 이후 20여년이 지나면서 여름철엔 호수에 부영양화 현상이 자주 나타나고 있다.
시는 이에 따라 동복호 수질을 담수 초기 수준으로 개선키로 하고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자문위원회를 구성, 현장조사 등을 토대로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분야별로는 ▲물관리 체계 선진화 ▲호수유역 관리대책 ▲오염원 관리 ▲호소(호수)내부 수질관리 ▲교육·홍보·주민지원 대책 등이다.
시는 이 같은 사업을 통해 오는 2020년까지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을 현재 3.0㎖/ℓ 수준에서 2.5㎖/ℓ까지 낮추기로 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