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완도해경 등에 따르면 완도·고흥·장흥 등 전남 연안지역 어민들이 산란철을 맞아 몰려드는 감성돔 등 고급 어류에 대한 ‘뻥치기’나 이강망·삼강망 등을 이용한 불법 어로가 근절되지 않고 있으나 단속의 손길은 미치지 못하고 있다. 올 들어 뻥치기 등 불법 어로에 대한 신고나 단속 실적은 단 한 건도 없는 상태다.
불법어로에 대한 단속이 어려워지면서 3∼6월 산란철을 맞아 인근 득량만, 강진만, 장흥 회진, 완도 금일·금당·생일면 일대 연안으로 몰려든 돔류에 대한 어민들의 불법 포획이 이뤄지고 있다. 이 때문인지 완도수협 공판장의 경우 참돔·감성돔의 하루 위판량이 1000만∼2000만원(㎏당 4만원)으로 최근 급격히 늘고 있다. 어민 K(완도군 금일면)씨는 “이강망·삼강망 등을 이용한 어업은 지금보다 앞으로 10여일쯤 후 본격적인 감성돔 산란철에 접어들면 더 극성을 부릴 것”이라고 귀띔했다.
이강망·삼강망 어업은 10∼20m의 물속에 무거운 닻을 내려 물고기를 싹쓸이하는 방식으로 불법이지만 그물이 드러나지 않아 단속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또 물고기의 주 산란처인 수중여(바위) 부근에 그물을 깔아 놓고 수면위에서 충격을 가해 포획하는 ‘뻥치기’의 경우도 주로 밤에 이뤄져 단속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고흥 녹동 수협 관계자는 “자연산 돔류의 외형만 살펴봐도 불법 어로에 의한 것인지를 알 수 있다.”며 “다음달부터는 아가미나 지느러미 등에 상처가 많은 돔류들의 위판고가 크게 늘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이들 해역을 관할하는 완도해경은 강진 마량, 완도·장흥, 회진·해남, 어란 등 4곳에 순찰선 4척을 두고 인근 해역에 대한 감시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연안으로부터 상당히 떨어진 청산도·황제도·덕우도 등지까지는 단속이 역부족인 상태다.
해경 관계자는 “지금부터 불법 어로에 대한 본격적인 단속을 펼 계획”이라며 “순찰선 등 장비가 부족할 경우 일반 경비선도 단속에 투입하겠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