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김유영기자 carilips@seoul.co.kr
■ 장애인 시설등 통합 건립- 사회복지과 한종두씨
지난 2월 강북구 번동에는 구립장애인보호작업장과 구립자원봉사센터가 함께 들어선 건물이 문을 열었다.
처음에는 두 시설을 따로따로 지을 예정이었다. 하지만 장애인 시설의 경우 주민들의 반대가 심했다.
‘아예 두 건물을 같이 지으면 어떨까. 자원봉사센터의 취지가 사회적인 약자를 돕는다는 것인데 바로 옆에 장애인 시설이 있으면 연계 프로그램도 잘 짜여질 테고….’
바로 한종두씨가 이런 생각을 했다. 예상대로 두 건물을 합치니 주민들의 반대가 덜했다. 무엇보다 설계비·감리비 등 4000만원을 절감할 수 있었다. 엘리베이터, 화장실, 강당 등도 함께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입주한 지 2개월째를 맞는 장애인보호작업장에는 현재 장애인들이 컴퓨터를 세척하거나 업그레이드하는 등의 작업을 하고 있다. 이웃(?)인 자원봉사센터와의 연계 프로그램도 앞두고 있다. 작업을 하더라도 비장애인의 손길이 필요한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한씨는 “서로 돕고 사는 정신도 실천하고 덤으로 예산도 아낄 수 있어 보람을 느꼈다.”고 말했다.
■ 홍보·보고용 동영상등 직접 제작 - 기획예산과 정경미씨
강북구의 웬만한 대외홍보물은 정경미씨의 손을 거친다.
정씨는 기획예산과에만 10년째 몸담고 있는 ‘기획통’. 정씨의 원래 업무는 월간·연간업무계획을 짜고 관련 문서를 편집하는 것이다. 구정 업무 설명회마다 관련 프리젠테이션·동영상 등의 자료를 외부 업체에 맡겼는데 한 편당 500만원 안팎이 들었다. 아까웠다.
정씨는 그길로 영상편집학원에 등록했다.‘기술만 있으면 할 수 있는 것인데 돈이 새나간다는 느낌이 들었다.’는 것이 그 이유다. 수강생은 대부분 방송계 지망생이었고, 공무원은 정씨가 유일했다. 학원에 다니면 그것으로 끝인 줄 알았는데 하면 할수록 필요한 기기와 기술들이 늘었다. 일러스트, 포토샵, 애프터이펙 등의 프로그램도 혼자서 공부했다.
정씨는 삼각산 포럼, 각 동사무소 업무보고, 주민 대상 신년 인사회, 구정 홍보 간담회 등 연간 20∼30편의 자료를 만들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업무 외에 자료 제작이라는 업무도 생겼다.“시키지도 않은 일을 해서 혹 하나 더 붙인 꼴 아니냐.”고 물었더니 정씨는 “집에서 맛있는 밥을 알뜰하게 지을 수 있는데 비싼 밥을 사먹을 필요가 있냐.”며 웃었다.
■ 다른 기관 통신망 활용 이끌어- 기획예산과 신경철씨
예산 절감 액수로만 따진다면 신경철씨가 단연 1위다. 다른 기관의 통신망을 쓰는 방법으로 무려 5억여원을 아꼈기 때문이다.
신씨는 지난해 강북구청∼강북구보건소의 3.5㎞ 구간에 땅을 파고 초고속 광통신망을 묻기로 했다. 강북구보건소의 통신망 속도가 느려져 통신망을 새롭게 구축하는 작업이었다. 예산은 8억원. 서울시에서 재정자립도 꼴찌인 강북구로서는 만만치 않은 액수였다.
그러던 중 한 통신사의 기존 전산망을 활용하는 방법을 생각해냈다.
담당 직원을 설득하는 것이 1차 관문이었다. 그는 ‘우리 회사가 돈들여 설치한 전산망을 왜 공짜로 쓰려고 하느냐.’면서 거절했다. 신씨는 술 한잔·차 한잔 하면서 ‘공적인 목적으로 쓰는 것’이라면서 줄기차게 설득했고 몇년 전 해당 통신사와 강북구청이 맺은 업무 협력 협약서를 들이대기도 했다.
이같은 ‘양동작전’을 구사하기를 꼬박 4개월.
결국 담당 직원은 ‘그러면 공문을 한 번 보내봐라. 본사와 협의해 보겠다.’고 대답했다. 결국 별도로 땅을 파는 공사를 하지 않고 기존 통신사의 전산망을 쓸 수 있었다. 이같은 ‘노하우’가 알려지자 다른 지자체에서도 통신사의 전산망을 공짜로 쓰게 해달라는 민원이 쏟아져 애를 먹고 있다는 후문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