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료도 입주업체들은 수도료 외에 t당 348원의 급수시설 사용료를 인천공항공사에 내야 한다. 인천시 업무용 수도요금이 1∼300t까지 t당 660원인 것에 비해 공항내 업체들은 수도료를 50%가량 더 내고 있는 셈이다. 공항내 전기료와 수도료가 비싼 것은 발전시설과 상수도관 등이 민간자금이나 인천공항공사의 예산으로 건설됐기 때문이다. 공항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민간기업인 인천공항에너지가 세운 열병합발전소가 2000년 2월부터 공급하는데 투자비를 회수하기 위해 비싼 전기료를 받고 있다.
인천공항공사 관계자는 “공항단지는 민자나 공항공사 자금이 투입됐기 때문에 전기·수도료가 비싼 것은 어쩔 수 없다.”며 “입주업체들도 이를 알고 입주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업체 관계자는 “공공시설인 공항에서 지나치게 높은 전기·수도료를 받는 것은 부당하다.”면서 “공항단지가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요금을 인하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