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선 구간 가운데 용산구간만 지상에 건설하겠다는 한국철도시설공단의 방침은 행정 편의적 발상입니다. 이를 바로잡지 않으면 용산구의 발전은 수십년 뒤쳐집니다.”
경의선 복선전철화 사업은 2009년 완공을 목표로 용산∼문산(46.4㎞)구간 공사가 진행 중이다.
김 의장이 문제를 제기한 곳은 용산∼효창공원 구간. 한국철도시설공단은 경의선 전 구간을 지하로 건설한다고 발표했다가 예산부족과 기술적인 이유로 용산구간만 지상으로 계획을 바꿨다. 용산구의회와 주민은 공단의 결정에 반발했다. 특히 김 의장은 2004년 11월부터 ‘경의선 및 용산구 관내 철도 지하화 추진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총의를 모았다.
용산선 지상구간 주변인 청파1·2가, 효창, 용문, 원효1, 한강1·2·3, 이촌2동을 돌며 36차례나 주민간담회를 가졌다. 주민은 하나같이 소음·진동과 생활권 단절을 걱정했다. 지상화를 반대하는 서명에도 1000여명이 참여했다. 구의회는 ‘경의선 복선전철 용산구간 지상건설계획 반대 결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지하화 추진위는 한국철도시설공단을 찾아가 이러한 주민 의견을 전달했다.
김 의장은 “공단이 시대 착오적 발상에서 벗어나 주민의 바람대로 경의선을 지하에 건설하고 공원을 지상에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용산구의회는 용산 민족·역사공원 특별법안을 철회하라는 결의문도 채택했다.
“용산공원은 124년 만에 서울시민의 품으로 돌아옵니다. 미군기지 이전 재원을 마련한다는 명목으로 공원에 상업시설을 건설하면 민족공원의 뿌리가 흔들릴 것입니다.”
북한산∼남산∼관악산을 잇는 녹지축으로 용산공원을 보존해야 미국 뉴욕의 센트럴파크나 영국 런던의 하이드파크처럼 도심의 허파 역할을 할 것이라고 김 의장은 설명했다.
“100년을 내다보며 도시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눈 앞에 보이는 이익에 흔들려선 안 됩니다. 우리 후손에게 자랑스럽게 물려줄 도시를 건설하는 데 용산구는 온 힘을 쏟을 것입니다.”
■ 김근태(64)의장
▲충남 서천 출생, 충남제일철강 대표이사, 용산중앙새마을금고 이사장, 경의선 및 용산구관내 철도지하화 추진 위원장, 용산구 생활체육협의회 회장, 용산구의회 3선 의원
정은주기자 ejung@seoul.co.kr
2006-10-25 0:0:0 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