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관계자는 10일 “국토해양부가 최근 비공개로 가진 ‘울릉도 경비행장 건설 타당성 조사 용역’ 최종 보고회에서 경제성 및 사업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고 밝혔다. 최종 후보지는 울릉읍 사동리와 서면 남양리 가두봉(194.3m) 일대가 사실상 확정됐다.
이 관계자는 “울릉 경비행장 건설 사업이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비용편익(BC) 등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국가 안보와 독도의 실효적 지배에 따른 영토 수호적 측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조만간 이런 내용의 사업 계획을 확정해 발표하고 기획재정부에 울릉 경비행장 건설 예비 타당성 조사를 의뢰할 것으로 알려졌다. 울릉 경비행장은 2015년까지 울릉읍의 가두봉을 깎은 토사로 사동항만을 매립, 1750m(폭 30m) 규모의 활주로가 건설된다. 총 사업비는 5000억~7000억원이 소요될 전망이다.
울릉 경비행장 건설 사업은 1978년 당시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수립된 ‘독도 종합개발 계획’에서 처음 거론된 이후 30여년 만에 본격화되는 것이다. 경북도와 울릉군은 그동안 정부에 독도의 모섬 울릉도 개발을 통한 독도 수호 등을 내세워 경비행장 건설을 계속 요구해 왔다. 정부도 몇 차례 사업 타당성 조사를 했으나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 등으로 나서지 않아 장기간 표류해 왔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11월 일본의 독도 침탈 행위가 갈수록 가속화되고 독도·울릉도 관광객 증가로 울릉도 개발의 필요성이 높아지자 국토부가 한국공항공사에 경비행장 건설 타당성 조사 용역을 의뢰했다. 하지만 환경단체 등이 천연기념물(제237호)인 사동 흑비둘기 서식지를 비롯한 각종 희귀 야생 동식물 및 천혜의 자연경관 등 환경·생태계 파괴를 우려, 크게 반발할 것으로 알려져 난항이 예상된다.
경북도 관계자는 “환경파괴 등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면 울릉 경비행장 사업은 큰 문제는 없다고 판단한다.”면서 “경비행장이 건설되면 섬의 열악한 정주 여건과 비싼 물류비용 등 모든 여건이 대폭 개선되고 관광객 유치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결국 독도 영유권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대구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