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를 대표하는 도심거리 축제인 ‘추억의 7080 충장축제’가 오는 13일 충장로 일대에서 개막돼 일주일간 펼쳐진다.
광주 동구는 7일 6회째인 올 축제가 거리퍼레이드 경연과 전시관인 ‘추억의 시간여행’ 등의 내용을 대폭 보강했다고 밝혔다.
●이발소·다방… 옛거리 그대로
동구는 옛 충장로를 기억하는 7080세대뿐만 아니라 충장로에서 미래의 추억을 만들어 가고 있는 2030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다채롭게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추억을 주제로 삼은 이번 축제의 핵심은 과거를 만나고 즐길 수 있는 ‘추억의 시간여행’ 전시관이다.
특히 올해는 이 전시관에서 전문 연기자들이 직접 과거 유행했던 복장을 하고 관람객을 맞는다. 30∼40년 전 충장로에 있던 이발소나 상점, 다방 등 다양한 생활상을 사실적으로 재현했다. 40대 이상이 이곳을 들리면 옛 거리를 그대로 추억할 수 있다.
금남로 공원에서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추억의 동창회’도 열린다. 동창회는 축제기간 하루에 한 학교씩 동창생과 은사가 만나는 자리다. 전남여고와 전남고, 동신고, 동신여고, 광덕고 등 5개 학교가 참여한다. 특설무대에서는 ‘지역 문화그룹 공연’이 이어진다. 전국 150개 팀이 참가해 힙합댄스와 요들송, 마술쇼, 라틴댄스 등의 공연을 20∼30분 단위로 펼친다.
축제 기간 충장로와 금남로 골목에서는 화려한 무대도 없이 공연하는 ‘충장로 골목길 문화제’가 열린다. 각 골목길에서는 아코디언 연주나 보컬그룹 공연 등 7개 장르 20여개 팀이 무대나 조명도 없이 돗자리를 펴고 공연한다. 관람객들이 부담없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다.
●유태명 동구청장 “英에딘버러 축제처럼”
베트남과 필리핀, 인도, 캄보디아 출신 4개 팀 540여명이 참여한 ‘다문화 가족 추억이야기’에서는 다양한 나라의 문화를 엿볼 수 있다. 이 공간에서는 귀화한 외국인이나 외국인 노동자들이 자국의 전통 민속 공연이나 연극, 댄스 등을 만날 수 있다. 유태명 동구청장은 “이 축제를 영국의 에딘버러축제처럼 세계적 이벤트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09-10-8 12:0: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