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령 오천면 오포리 보령화력발전소는 400만㎾의 1~8호기 설비를 갖추고 가동 중이다.
●화력발전 생산량 52% 충남서
충남 서해안은 국내에서 가장 많은 화력발전소가 몰려 있는 곳으로 화력 발전 생산량의 52%를 차지하고 있다.
대전충남녹색연합은 이날 성명을 내고 “지난해 지경부 통계에 따르면 충남이 8734만 9000t의 온실가스를 배출해 전국 1위를 차지했다.”면서 충남도가 화력발전소 증설 중단과 온실가스 배출량 총량관리 등에 적극 나서라고 촉구했다.
이 단체 유병연 국장은 “기후변화시대를 맞아 탄소배출권 규제에 대비해야 하고, 정부가 신재생에너지를 중시하는 시점에 공기업이 앞장서 역행하고 있다. 지금도 보령화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온수와 석탄재로 바다가 죽어가고 있다.”고 비난한 뒤 “다른 시민사회단체와 연대해 보령화력 증설을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중부화력 “계획대로 추진”
추진위에는 보령·홍성지역 27개 어촌계가 참여하고 있다. 박씨는 “어업 피해에 대한 어떤 대책도 없다. (보령화력 증설을) 죽기 살기로 막겠다.”면서 “서천군 16개 어촌계도 동참하도록 공문을 보냈다.”고 덧붙였다.
충남에는 보령을 비롯, 당진과 태안이 각각 400만㎾, 서천 40만㎾ 등 모두 1240만㎾가 가동 중이다. 게다가 200㎾의 당진화력 증설이 확정돼 2014년 완공된다.
중부발전 신보령추진팀 박명수 차장은 “우리나라 전력 예비율이 15%는 돼야 하는데 올해 6%까지 떨어져 제한송전까지 갈 수도 있는 상황”이라며 “보령화력 증설을 계획대로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보령 이천열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