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 아파트’ 보존가치 감안 예술 창작공간으로 리모델링
서울 종로구 창신동에 자리하고 있는 이른바 ‘연예인 아파트’(동대문 아파트)가 예술인들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노후 건물을 부수고 새로 짓는 뉴타운 사업방식에 변화를 몰고 올 것으로 보인다.서울시는 10일 이런 내용을 포함한 ‘창신·숭인 재정비촉진지구 1단계 계획안’을 확정해 고시했다.
사업지역 안에 위치한 동대문 아파트(131가구)는 1960년대 건립된 국내 최초 중정형 아파트다. ‘ㅁ’자형으로 단지 중앙에 뜰이 있는 구조다.
60~70년대 연예인들이 많이 살아 연예인 아파트란 별칭도 얻었다. 이처럼 지은 지 40년이 넘은 노후 아파트를 철거하지 않고 재활용하는 것은 서울시내 26개 뉴타운지구 중 첫 사례다.
임계호 시 뉴타운사업기획관은 “보존가치를 감안해 시비로 매입한 뒤 리모델링을 거쳐 예술인의 창작·전시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라면서 “뉴타운사업이 무조건 철거 후 재개발한다는 관행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종로구 창신1·2·3동과 숭인1동 일대 84만 6100㎡ 중 왕산로 남쪽 1단계 지역 10만 7948㎡에 2016년까지 5~40층짜리 주택 2116가구(임대주택 413가구 포함)가 들어선다. 청계천변에는 최고 145m(40층) 높이의 랜드마크 타워가 건립돼 업무·판매·쇼핑센터나 호텔 등의 복합용도로 사용된다.
시는 또 2단계 지역 73만 8152㎡도 주민 공람과 시도시재정비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재정비 계획을 결정하기로 했다.
2단계 지역에는 2019년까지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주택 3570가구를 포함해 모두 7855가구가 건립된다. 이 지역에 밀집한 영세 봉제업체 900여곳은 동대문역 인근에 ‘봉제 르네상스 패션타운’을 2014년까지 건립해 흡수할 방침이다.
임 기획관은 “뛰어난 교통 인프라와 개발 여건을 바탕으로 자연·문화·산업·주거가 어우러진 서울 도심권의 복합문화도시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10-02-1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