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역세권 재개발·재건축 용적률 최대 500%로
서울 지하철역 주변 재개발·재건축사업은 용적률이 500%까지 늘어난다. 늘어나는 용적률의 50%는 서울시 장기전세주택 ‘시프트’를 짓는다.
|
이렇게 하면 시프트 물량이 2018년까지 당초 계획보다 1만 3000가구 이상 늘어난 13만 2000여가구가 공급된다. 시프트는 주변 전세 가격의 80% 수준에서 최장 20년까지 살 수 있는 장기전세주택을 말한다.
서울시는 6월까지 도시계획조례를 개정하고 정비계획 수립 및 운영 기준을 마련해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반영하고 이르면 7월부터 사업 추진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서울 재개발·재건축구역 18㎢ 중 약 4%인 0.8㎢ 정도가 적용을 받아 시프트 1만 3000가구 정도가 공급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따라서 2018년까지 서울 시내에 공급될 전체 시프트도 모두 13만 2000여가구로 늘어날 전망이다.
김효수 서울시 주택국장은 “이제 주택 개념이 소유에서 주거로 바뀔 것”이라면서 “앞으로 시민들이 집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도시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시프트 공급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