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광주시에 따르면 최근 대구의 한 호텔에서 양 지역 공무원과 연구원 등이 참여한 가운데 ‘광주-대구 초광역 연계사업 토론회’를 가졌다. 지난 2일 광주 테크노파크에서 열린 1차 토론회에 이은 두 번째 만남이다.
양 지자체의 제1호 협력사업은 광주의 광(光)기술과 대구의 정보기술(IT)을 접목하는 방식의 3D융합산업. 이는 3D영상산업과는 달리 차세대 전자정보기기와 IT 융합기기 등에 3D기술을 접목한 신산업이다.
광주의 강점인 광부품·광융합 산업 등과 대구의 로봇과 의료 등에 3D기술을 접목, 경쟁력을 갖춘 3D 융합산업으로 육성한다는 복안이다.
전기자동차 분야를 보면 광주의 기아자동차와 대구에 들어설 예정인 지능형자동차부품 주행시험장·자동차부품 인프라 등과 연계한 연구·개발을 추진할 경우 각 지역 발전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이는 정부가 추진 중인 글로벌 전기자동차 4대 강국 선점 정책과도 맞아 떨어진다. 이를 위해 양 도시는 각 실무자와 연구원 등 10여명이 공동 참여한 팀을 구성하고, 구체적 사업 발굴에 착수했다.
이런 절차를 거쳐 세부사업 계획서를 공동으로 마련한 뒤 하반기엔 지식경제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대상 사업으로 신청할 계획이다.
두 도시 간의 이 같은 협력 강화는 정부의 초광역 경제권 발전 구상과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영·호남이 손을 잡아야 한다는 공감대 형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두 도시의 협력은 지난해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유치하는 과정에서 광주와 대구가 양해각서(MOU)를 교환하는 등 전략적 제휴에 돌입하면서 시작됐다.
이어 연구개발(R&D) 특구, 영호남 철도 건설, 내륙 첨단과학 벨트 구축 등 굵직한 국책사업과 관련 잇따라 한목소리를 내 왔다.
이 때문에 대구의 옛 명칭인 ‘달구벌’과 광주 ‘빛고을’의 앞 글자를 딴 ‘달빛동맹’이란 신조어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양 도시는 내륙에 위치한 거점지역으로서 공통점을 갖고 있는 만큼 발전전략 등도 비슷한 점이 많다.”며 “양 지역의 특성에 맞는 사업을 연계 추진할 경우 시너지 효과와 함께 교류와 이해 증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