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신내3지구에 첫 ‘지속가능형 공동주택’ 도입
국민임대주택 예정지구인 서울 중랑구 신내3지구에 가구별 또는 가구간에 쉽게 구조를 바꿀 수 있는 아파트가 서울에서 처음 들어선다.서울시는 26일 건축위원회를 열어 신내3지구 건축심의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SH공사가 시행하는 신내3지구 18만 842㎡에는 10~22층 아파트 39개동 3298가구(전용면적 39~114㎡)가 건립된다.
당초 이곳에는 4개 단지에 5134가구가 들어설 예정이었으나, 단지 사이로 구리~포천간 민자고속도로가 지나가게 돼 공급 규모가 감소했다.
특히 시는 이곳에 주거 유형에 따라 구조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지속가능형 공동주택’ 설계를 처음 적용했다.
지속가능형 공동주택은 한번 지으면 변형할 수 없는 콘크리트벽 구조의 기존 아파트와 달리 건물 골격은 유지하면서 벽이나 설비 등 내·외부 구조를 쉽게 바꿀 수 있는 주택을 뜻한다.
시는 지난해 11월 ‘지속가능형 공동주택’ 제도를 도입해 올해부터 SH공사가 시행하는 아파트와 재개발 임대아파트 등 공공 부문에 의무화했다. 민간 부문의 경우 이 방식으로 지으면 최대 10%까지 용적률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서울시는 “SH공사가 시행하는 사업은 1~2인 가구나 노령 가구, 대가족 가구 등 다양한 가구 형태와 생활양식 변화에 맞춰 크기와 평면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