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의 불교 전문 미술관…이응로·원담스님 작품 등 전시
충남 예산군 덕산면 수덕사 입구에 ‘선(禪)미술관’이 있다. 사찰에서 운영하는 국내 최초 미술관이다. 첫 불교 전문 미술관이기도 하다.백제 위덕왕(554∼597) 때 창건돼 국보 49호 대웅전이 있고, 한국 불교의 선이 있게 한 1400여년 역사의 수덕사 위상으로 보면 최초의 불교 미술관이 들어선 것은 당연하다. 정암 수덕사 총무스님은 “평일 400여명, 주말에는 하루 1500여명이 미술관을 찾는다.”고 말했다.
●일주일 5000명 방문
이 미술관은 지난 3월26일 문을 열었다. 수덕사가 군 지원 예산 등 16억원을 들여 지었다. 410㎡의 서양식 단층 건물이다. 수덕사 대웅전 지붕을 형상화하고 선의 의미인 단순함을 최대한 살렸다.
내부에는 100㎡ 안팎의 전시실 2개가 있다. ‘고암’과 ‘원담’이란 이름을 붙였다. 고암은 한국 현대 미술계의 거장인 이응로(1904~1989) 화백의 호이고, 원담(1927~2008)은 수덕사 방장(方丈)을 지낸 큰 스님이다. 원담은 국내외에 이름을 떨친 서예가다. 그는 경허·만공 스님의 한국근대 선불교사(禪佛敎史)의 맥을 잇는 중심 인물로 평가받는다.
정암 총무스님은 “수덕사가 선미술관을 지은 것은 원담 스님도 있지만 이응로 화백과의 인연도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미술관 바로 옆에 고암이 머물며 작품활동을 했던 수덕여관이 있다. 이곳은 한국 최초의 여류 서양화가 나혜석(1896∼1946)이 5년간 살았던 곳이다. 나혜석은 만공 스님으로부터 “너는 스님이 될 재목이 아니다.”고 거부당하자 수덕여관에 묵으면서 그림을 그렸다. 이 여관은 나혜석의 영향을 받은 고암이 1944년 매입, 1958년 프랑스로 유학가기 전까지 살았다. 그는 1967년 동백림간첩단 사건으로 옥고를 치른 뒤 이곳에 잠시 묵기도 한다. 그가 새긴 암각화 2점과 현판이 있다.
수덕사는 원담 스님 입적 2주기 때 선미술관을 개관하면서 첫 전시회로 고암과 원담 스님의 작품을 선보였다. 고암전시실에서는 이 화백의 후손과 제자, 지인들이 기증한 15점과 수덕여관 수리 때 발견한 습작 50여점 등 모두 65점의 고암 작품이 전시됐다. 원담전시실에서는 원담 스님이 그린 달마도와 서예작품 등 40여점이 선을 보였다.
두 번째 전시회로 5월29일까지 계태사 혜담 스님의 ‘고려화불 전시회’가 열린다. 전시회가 없을 때는 선미술관 수장고에 있는 경허·만공 등 수덕사와 인연이 있는 스님들과 고암의 작품이 전시될 예정이다.
예산 이천열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