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화성·오산시장 촉구
김진표(민주당·수원 영통) 국회의원과 염태영 수원시장, 채인석 화성시장 등은 ‘긴급 당정협의’를 갖고 “일각에서 논의 중인 수원 비상활주로의 비행장 내 이전은 목 뒤의 혹을 이마로 옮기는 식의 잘못된 처방”이라며 “수원비행장 전체를 조속히 이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비상활주로는 활주로가 폭격을 받아 제 기능을 못할 때 이를 대신하고 보완해 주는 백업용인데 200억원이 소요되는 비상활주로를 주활주로 옆에 건설한다는 것은 전략적 측면에서 맞지 않고 소음 피해만 가중시키는 잘못된 처방”이라고 주장했다.
또 “비상활주로를 신속히 해제하고 수원비행장 전체를 서해안이나 섬 등으로 이전하는 것만이 근본해법”이라며 “도심 군비행장 이전 촉진 관련법을 국회에서 조속히 통과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수원 비상활주로는 1983년에 지정된 후 30여년간 단 한번도 사용된 적이 없으면서 비행안전구역 고도제한에 따른 건축제한으로 시민들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며 조속한 해제를 촉구했다. 염 시장은 ‘비상활주로를 폐지하고 부대 안으로 이전’하려는 계획에 대해 “수원시장과 화성시장은 경기도와 공군의 요청이 없어 관련 회의에 참석하지 못해 의견조차 제시하지 못했다. 비상활주로 이전으로 수원비행장을 고착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면 비상활주로 이전 문제를 논의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경기도와 공군은 지난 11일 간담회를 열고 수원시내 비상활주로를 폐쇄하고 부대 안에 신설하는 방안에 대해 상당 부분 합의했다. 수원비행장 비상활주로는 8만 9000㎡에 지정됐으며, 전국 비상활주로 5곳 가운데 유일하게 도심에 있다. 주변 6.75㎢에서는 건물 높이를 2~11층으로 제한하고 있다.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