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과학원, 제주 서귀포서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의염통성게’가 40년 만에 제주에서 발견됐다.국립수산과학원 아열대수산연구센터는 지난 6월 초 서귀포시 대정읍 영락리 공동어장에서 어장실태를 조사하다 수심 10m의 모랫바닥에서 지름 4㎝ 크기의 성게 1개를 발견, 조사한 결과 ‘의염통성게’로 확인됐다고 17일 밝혔다.
의염통성게는 1970년 국내 처음으로 서귀포에서 발견됐으나 이후로 발견되지 않아 멸종된 것으로 추정됐다.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2급이다.
이 성게는 제주도, 일본, 남중국해, 말레이시아 반도, 인도양 등에서 사는 아열대성 종이다. 붉은 보라색을 띠며 등이 볼록하고 배는 평평하다. 주로 모랫바닥에 서식하며, 최고 5㎝까지 자란다.
구준호 아열대수산연구센터 연구사는 “의염통성게가 멸종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크다.”며 “발견지점을 중심으로 서식실태를 정밀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