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 어린이집 3곳에서는 생후 6개월부터 만 5세까지의 아이를 맡길 수 있다. 보육료는 시간당 3000원(종일 5만원)이며, 유기농 식단으로 짜여진 식사비용도 한끼당 1000원으로 저렴하다. 또 응급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해 삼성의료원과 강남세브란스병원, 자생한방병원 등과 협조 체계를 구축했다.
보육 신청은 긴급상황을 제외할 경우 이용희망일 3일 전 인터넷(gncare.go.kr)이나 전화(1588-8256)로 하면 된다. 다만 부모가 보육 의무를 고의적으로 회피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여행 등 취미·여가 목적으로 아이를 맡길 수 없도록 하고, 1인당 월 이용시간을 최대 4일(96시간), 또는 8회로 제한하기로 했다. 신연희 구청장은 “2개월간 시범실시 후 단계적으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라면서 “다양한 보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서비스의 질도 높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또 이러한 시간제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린이집을 내년부터 서울시내 25개 자치구로 확대할 방침이다. 해마다 25곳씩 최대 100곳을 이런 어린이집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이충세 시 보육담당관은 “시간제 어린이집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내년도 시 예산에 반영하기 위해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