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부산시에 따르면 매장문화재 전문 조사기관인 동양문물연구원이 올해 10월 6일부터 최근까지 하얄리아 부지 53만㎥ 가운데 20만 5000㎥에 대한 시굴조사를 벌인 결과 청동기시대, 삼국시대,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문화재가 발견됐다.
이 자료에 따르면 미군 통신시설이 있던 하얄리아 동쪽 구릉지에서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인 무문(無文)토기편이 다수 발굴됐으며, 5세기 삼국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무개고배(無蓋高杯·뚜껑없는 굽다리 접시), 단경호(短頸壺·목 짧은 항아리)를 비롯해 회청색 경질 토기 조각이 다량 출토됐다.
삼국시대 무덤 양식인 토광묘도 확인돼 이 일대가 삼국시대 고분군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강점기때 마권판매소로 사용되던 곳에서는 원형과 타원형, 방형, 부정형 수혈 건물지와 각종 토기 조각이 나왔다.
평지쪽은 미군 주둔 과정에서 형질변경이 이뤄졌지만 조선인 군속 훈련소와 경마장과 관련한 유물이 출토되기도 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헬기장 등은 청동기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주거지로 사용됐던 곳으로 추정되며 헌병수송대 주변은 조선시대 주거지로 보인다.”고 밝혔다.
시는 문화재청과 협의를 한 후 본격적인 유물 발굴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지만 공원조성사업에 차질이 예상된다.
시 관계자는 “아직 문화재청의 심의가 남아 있어 유물 발굴이 어떻게 이뤄질지 확답하기 어렵다.”면서 “공원 조성사업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부산 김정한기자 jhkim@seoul.co.kr
2010-12-02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