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시민위원회 구성 준비… 홍보운동 등 계획
공무원 월급이 걱정될 정도로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는 인천 부평구의 재정위기 극복을 위해 시민들이 발벗고 나섰다. 텅 빈 공공기관 ‘곳간’을 채우기 위해 주민들이 나선 것은 전국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들다.특히 재정 악화의 주원인이 막대한 사회복지예산 때문인 것으로 밝혀지자 복지정책 수요자인 시민들이 해결사를 자처함으로써 새로운 민·관 협조 모델로 부각되고 있다.
13일 부평구에 따르면 지역 주민들이 중심이 돼 ‘재정위기 극복을 위한 부평구 범시민위원회’ 발족을 위한 준비모임을 가진 데 이어 14일 2차 모임을 갖는다.
시민위는 지역 원로 및 각계각층의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재정위기 극복을 위한 민간 차원의 재정적 지원활동, 각종 홍보매체를 통한 범시민운동 전개 등을 추진하게 된다.
아울러 지역 국회의원과 시의원을 통해 국가 및 인천시 차원의 지원방향을 건의하고, 관내 주요기업을 대상으로 한 지원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시민위 관계자는 “행정기관 살림이 나빠지면 결국 주민들에게 피해가 돌아간다는 위기의식이 계기가 됐다.”면서 “민간 차원에서 다양한 재정위기 극복 활동을 벌여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현재 부평구는 내년 예산(안) 공무원 인건비 596억원 가운데 486억원밖에 확보하지 못하는 등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다.
재정자립도(22.6%) 문제를 떠나 공무원 월급조차 주지 못할 정도의 위기에 처해 있다.
특히 공항, 항만, 산업단지 등 특별한 세입증가 요인이 없는 상황에서 노인·장애인·청소년시설 등 각종 사회복지시설 운영비가 지속적으로 늘어 재정구조 자체가 취약점을 보이고 있다.
부평구는 전체 예산 가운데 사회복지예산 비율이 올해 49%, 내년 56%로 전국 69개 자치구 가운데 가장 높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