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도-위그선·해남-초고속페리 도입 추진
전남 지역 지자체들이 운항 시간 2시간이 채 안 되는 제주도 카페리 항로를 경쟁적으로 개설하는 등 관광객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완도군은 지난 6일 완도∼제주 간을 30분대에 주파하는 위그선(WIG)을 올 하반기부터 운항하기 위해 한일고속 측과 투자 개발 간담회를 가졌다.
‘바다 위의 KTX’로 불리는 위그선은 수면 위를 1~5m 높이로 떠 시속 180~250㎞로 순항하며 파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초고속 선박이다. 대형 위그선은 승객 100∼150명, 화물 16.3t을 싣고 116노트(시속 215㎞)로 완도∼제주 간을 30분대에 주파할 수 있다.
또 지난 12일 해남군은 오는 10월 취항을 목표로 씨월드 고속훼리㈜와 제주도 간 여객선 취항 관련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여객 정원 800여명, 차량 175대를 동시에 실어 나를 수 있는 5000t급 초고속훼리를 운영한다. 최대 39노트(약 72㎞)의 속력으로 제주 신외항까지 1일 1회(성수기 1일 2회) 왕복한다. 소요 시간은 편도 1시간 40분. 해남군은 2012년부터 제주행 여객선이 본격 취항하게 되면 매년 20만여명의 여객 운송으로 관광객 유치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장흥, 6개월 만에 26만명 유치
앞서 장흥군은 지난 7월 장흥 노력항에서 제주 성산포항을 오가는 2400t급 오렌지호를 취항해 6개월 만에 26만명의 관광객을 유치했다. 이 항로는 1시간 50분대로, 육지에서 제주로 가는 항로 중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가장 빠른 것이다. 성인 기준 3만 1000원의 값싼 여객선 운임 등으로 광주 등 인근 지역뿐 아니라 수도권과 경상도 등에서도 이용객들이 찾아오고 있다.
장흥군은 “터미널 사용료와 임대료 등 1억 9000여만원의 세외 수입을 올렸다.”면서 “음식, 숙박, 택시 등 서비스 분야에서도 시너지 효과를 올려 지역 경제 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제주 뱃길이 열린 장흥읍 토요시장에는 주말이면 2000여명이 들러 장흥은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여객선 운 송 인원 3년째 증가
무안 최종필기자 choijp@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