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시와 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3월 초등학교 3∼6학년 무상급식 시행에 이어, 올 하반기부터는 1∼2학년에 대한 무상급식을 시행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시교육청 재정난이 가중되면서 무상급식 확대를 장담할 수 없게 됐다. 추가 무상급식을 하기 위해선 95억원이 소요되는데 시와 교육청이 28억원씩을 부담하고, 39억원은 10개 구·군이 내야 한다. 3(시)대 3(교육청)대 4(기초단체) 부담 원칙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시교육청은 부담금의 절반인 14억원만 확보한 채 나머지 14억원은 추경 예산에 편성하지 못했다. 더욱이 급식시설 확충비 62억원은 한푼도 확보하지 못한 상황이다. 때문에 1∼2학년 추가 무상급식을 시행하지 못할 정도로 급식 공간이나 자재가 부족한 학교가 24개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시교육청은 “시가 당연히 줘야 할 법정전입금을 제때 주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볼멘소리를 하고 있다. 시가 지난 10년간 시교육청에 지급을 미뤄온 법정전입금은 모두 1293억원. 인천시 관계자는 “시가 지급해야 하는 법정전입금과 무상급식 재원은 별개의 문제”라며 “급식시설 개선은 매년 해 온 사업인데 이제 와 돈이 없어 못하겠다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반박했다.
그러자 인천시교육청 관계자는 “무상급식뿐 아니라 교육청 각종 사업이 시의 법정전입금 미지급으로 차질을 빚고 있다.”고 맞섰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