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각 국립공원계획 변경 신청
25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북 남원시, 전남 구례군, 경남 산청·함양군 등 3개 도, 4개 시·군이 지리산에 케이블카를 설치하기 위해 환경부에 국립공원계획 변경 신청서를 제출했다.
환경부가 지난해 10월 자연공원법 시행령을 개정, 국립공원 내 자연환경보전지구에 설치할 수 있는 케이블카 길이를 2㎞에서 5㎞로 완화하면서 유치전은 더욱 뜨거워졌다.
남원시는 산내면 반석마을~반야봉 중봉 8부 능선에 이르는 6.6㎞ 구간에 케이블카 설치를 계획하고 있다. 400억원의 사업비를 전액 지방비로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운행거리가 가장 길고 천왕봉에서 노고단에 이르는 지리산 전체를 조망할 수 있다는 장점을 내세우고 있다.
전남 구례군은 지리산온천~노고단에 이르는 4.5㎞ 구간에 케이블카를 설치해 지리산 관광의 핵심시설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사업비는 450억원. 케이블카를 유치할 경우 성삼제 도로를 차단하고 인근 마을도 이주시키겠다며 유치에 적극적이다. 경남 산청군은 450억원을 들여 중산리~제석봉 간 5.4㎞에 케이블카를 설치할 계획이다. 케이블카가 설치되면 등산객이 가장 많은 중산리~천왕봉 간 등산로를 폐쇄해 환경복원이 가능할 것이라는 장점도 내세우고 있다. 지난 8월 뒤늦게 유치전에 뛰어든 후발주자 함양군은 25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관광객과 등산객이 많은 백무동~장터목 간 4.1㎞에 케이블카를 설치한다는 복안이다.
●관광객 증가 노려… 환경단체 반발
이들 자치단체가 케이블카 설치에 사활을 걸고 있는 것은 관광객 증가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의 반대도 거세다. 녹색연합, 생명의 숲 등 환경단체들은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국립공원을 개발 논리를 앞세워 훼손하지 말고 미래 세대에게 물려주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환경부는 국립공원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올 연말까지 국립공원 케이블카 시범 지역을 선정할 계획이다. 도시형, 내륙형, 해상형으로 나누어 3곳 정도 선정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