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변전소·환기구 안 된다”… GTX 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한강서 윈드서핑·요트·카누 즐기세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산불 예방 영농부산물 파쇄 사업, 일부 시군 늑장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주공항 승객 “비행기 이착륙 때 창문 덮개 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Weekend inside-도시의 변신은 무죄] 성수동, 새 신을 신다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살롱화의 추억·명품구두 메카 꿈꾸며…

1980년대 중반까지 구두 장인들이 만든 수제화는 ‘살롱구두’로 불렸다. 고급 사교 모임장었던 ‘살롱’에서 신는 구두라는 뜻에서다. 당시 살롱구두는 연예인이나 패션 감각이 있는 젊은 여성들이 즐겨 찾았다고 한다. 살롱구두가 곧 ‘명품구두’로 인식됐다.


서울 성동구를 방문한 미국 조지아주 캅카운티 경제·교육 분야 대표단이 지난 16일 서울성수수제화공동매장(SSST)에서 구두를 살펴보고 있다.
서울 성동구 제공

이런 붐을 타고 서울 명동과 퇴계로 일대에 밀집해 있던 수제화 공방들은 1980년대 중반까지 전성기를 누렸다. 하지만 대형 백화점이 등장하면서 하나둘씩 성동구 성수동으로 자리를 옮겼다.

성수동에 있는 600여개의 구두 제조 관련 업체는 대부분 1990년대 초까지 명동 등지에서 옮겨온 것이다. 전국에서 생산되는 수제화의 약 80%가 성수동에서 만들어지고, 각종 구두 브랜드의 80%가량이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이곳에서 제조된다. 구두는 100% 기계 제작이 불가능해 사람의 손이 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최근 성수동 수제화가 제2의 도약을 시도하고 있다. 서울시에서도 최근 침체된 성수동 구두 장인·공장의 명맥을 잇기 위한 ‘성수동 구두 제화산업 활성화 방안’을 내놨다.

지난 18일 구두 테마 거리 조성과 구두 테마 상징물 설치 등 ‘한국 수제화의 메카’를 꿈꾸고 있는 성수동 일대를 돌아봤다.

먼저 차세대 구두 장인을 꿈꾸는 사람들이 모인 성수2가 ‘성수동 수제화 학교’를 찾았다. 성동구 중소기업지원센터 내에 마련된 167㎡ 크기의 교육장에서는 수강생들이 작업을 하느라 구슬땀을 흘리고 있었다. 4개월 과정의 하반기 수강생은 모두 20명. 수강생들은 가피 제작용 작업 평상에서 작업을 하고 있었다. 상반기 과정을 수료한 18명 중 9명이 주변 구두 공방에 취업을 했다고 한다.

수강생 박수진(39·여·양천구 목동)씨는 미대를 졸업한 뒤 아이들을 가르치다 뒤늦게 꿈을 이루기 위해 이곳을 찾았다고 한다. 그는 “이 세상에 없는 멋진 구두를 만들어 해외에 수출하는 것이 꿈”이라고 했다. 경기 수원에서 다니고 있는 채혜원(40·여)씨는 “구두 만드는 것을 좋아했는데 배울 곳이 없었다.”면서 “이 세상에 없는 나만의 신발을 만들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교육장 옆에 있는 서울성동제화협회는 구두를 제작하고 판매하는 350곳의 성수동 수제화 공방들의 모임이다. 이해삼 사무국장은 “공방마다 10~15명이 근무하고 있는데 구두 기술을 배우려는 사람이 없다 보니 50대 초반이 막내인 곳이 대부분”이라고 귀뜸했다.

30년 가까이 구두공방에서 일했던 이 국장은 “기능올림픽에 구두 종목이 1985년까지 있었는데 한국은 이 종목에서 매번 우승할 정도로 기술력이 뛰어났다.”면서 “당시에는 ‘하견습-중견습-상견습’ 등 최소 5년 이상 일을 하고 ‘선생’이 돼야 구두를 만들 수 있을 정도로 인기가 있었지만 지금은 명맥이 끊어져 가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그는 후진 양성과 함께 수제화연구소를 만드는 것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그는 “구두는 24가지의 가죽 소재 등이 들어가는데 아직 관련 연구소가 없다.”면서 “세계적인 명품 구두를 만들려면 소재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성동구 수제화거리에 있는 구두공방인 뷰티엔제화 직원들이 가피 제작용 작업대에서 구두를 만들고 있다.
서울 성동구 제공

지하철 2호선 성수역 1번 출구 앞에 있는 서울성수수제화공동매장(SSST)은 공방에서 만든 구두를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매장이다. 지금은 입소문을 타고 알려져 한 달 매출액이 8000만원에 이를 정도로 인기가 많다.

인근에 있는 구두공방인 뷰티엔제화를 찾았다. 이철희(55) 사장은 20살 때부터 구두에 빠져 36년간 일을 해온 구두 장인이다. 공장에는 직원 20명이 하루 130족의 구두를 만든다. 그는 1988년까지 명동 유네스코 회관 옆에서 공방을 하고 3년간 중국에서 구두 사업을 하다 성수동에 둥지를 틀었다. 그는 “명동 시절에는 당대 최고 배우인 유지인, 정윤희 등 연예인들이 양피부츠 등을 맞춰 갔다.”면서 “당시 수제화는 한 켤레 값이 회사원 봉급의 3분의1에 이를 정도로 명품 구두의 상징이었다.”고 회상했다.

이 국장은 구두산업이 활성화되려면 꼭 필요한 것이 있다고 했다. 그는 “구두는 도시에서 필요한 물품을 즉각 공급하는 도시형 제조업으로 주변에 흩어져 있는 구두 공방들이 입주할 수 있는 아파트형 공장을 만들고, 공장 1층에 공동매장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낙후된 상권이 부활하려면 성수역의 이름도 ‘성수 수제화 메카역’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현석기자 hyun68@seoul.co.kr

2012-10-20 11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