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0년대 중반까지 눈 보기가 어려웠던 남부지방에 최근 몇 년 새 폭설이 이어지는 것은 이상기온에서 비롯된다. 지구온난화로 북극의 찬 공기가 한반도 전역으로 유입되면서 남부지방도 폭설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울산은 2007년 2회, 2008년 5회, 2010·2011년 각 6회 등으로 잦아지고 있다. 적설량도 증가하면서 지난해에는 기상관측 이후 사상 최대인 21.4㎝를 기록했다. 경남도 최근 3년 새 대설특보가 발효될 정도로 큰 눈이 쏟아져 ‘눈 보기 어렵다.’는 말을 무색하게 하고 있다. 창원에는 2010년부터 매년 한 차례씩 큰 눈이 내리고 있다. 늦겨울이나 초봄에 대설주의보가 발효되는 등 겨울철 기상 패턴이 바뀌고 있다.
유재은 울산기상대 예보관은 “북극에서 형성된 한기가 상층의 제트기류를 타고 한반도 전역에 영향을 주면서 한파와 폭설이 많아지고 있다.”면서 “이런 현상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각 지자체의 제설 대책은 기후변화만큼 속도를 내지 못한다. 최근 제설 장비를 확충하고 있지만, 시민들이 체감할 수준은 아니다. 울산시는 공무원 1751명과 제설차량 138대(관용 50대, 민간 88대)를 긴급 투입해 새벽부터 제설작업에 나섰지만 역부족이었다. 시민들은 눈 쌓인 빙판길에 시내버스가 오지 않아 지각·결근 등 불편을 겪자 행정기관에 전화를 걸어 제설 대책을 촉구하기도 했다.
울산은 2년 전만 해도 제설용 염화칼슘이 부족해 바닷물을 뿌리기도 했다. 현재는 그나마 제설차량 51대와 제설기 55대, 살포기 42대, 기타(덤프·파쇄기 등) 7대의 장비를 갖췄다. 시 관계자는 “다른 예산보다 먼저 확충하지 못한다.”면서 “점진적으로 관련 예산을 늘리고 장비도 현대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남부지방의 겨울 기상 패턴이 급격히 변화하는 만큼 지자체 제설 대책도 적극적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김시중 울산기상대장은 “울산과 부산은 남부지방 중에서도 눈에 가장 취약하다.”면서 “사안 발생 때 찔끔찔끔 예산을 편성하는 소극적인 대처로는 안 된다. 매년 제설 관련 예산을 충분히 편성해 출퇴근길 시민들의 안전을 확보하고, 교통대란도 해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