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편의시설 갖춘 힐링숲으로” 코레일 “땅 사든지 사용료 내라”
강원 춘천 도심을 가로질러 놓인 경춘선 복선전철 인근 옛 남춘천역사 터(2만㎡) 활용을 놓고 시와 코레일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20일 춘천시에 따르면 지난해 산림청 공모 사업에 선정돼 연내에 퇴계동 옛 남춘천역사 터와 춘천KBS방송총국 부근(1만㎡) 등 2곳에 국비를 포함, 20억원을 들여 힐링 숲을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옛 남춘천역사 터의 땅 소유주인 코레일에서 사용료를 내라고 주장하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시는 옛 남춘천역사 터를 공원구역으로 묶어 놓고 도심 속 숲을 조성할 계획이다. 당초 전철 지하화를 요구했지만 사업비 과다 등을 이유로 지상 건설을 주장했던 옛 철도청(코레일의 전신)이 사업 초기 주민설명회 등에서 각종 편의시설을 구두로 약속했던 만큼 터의 무상 이용이 합당하다는 주장이다.
시민들도 “코레일이 부지를 방치해 불법 주차와 쓰레기로 인해 흉물스럽게 변했다”며 시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단장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코레일은 “시가 이미 해당 토지의 용도를 공원과 주차장 부지로 묶어 놓은 것은 지나친 처사”라며 “향후 회사가 개발을 하려 해도 용도 변경 등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의가 필요한 상황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와 맞물려 신동면 정족리에서 옛 근화동사무소까지의 경춘선 복선전철 도심구간 고가 하부공간(전체 3.6㎞)에 대해서는 남춘천역사~정족리 1.4㎞를 녹지 공간과 체육시설, 주차 공간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전영호 춘천시 경관과 팀장은 “시가 국비 등을 들여 공공 목적인 숲 공원을 조성하려는 취지인데 토지 매입이나 사용료 납부를 요구하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렵다”면서 “소음과 분진 때문에 고통받는 시민들을 위해 전향적인 결정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춘천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