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년 된 회현2시민아파트… ‘남산 랜드마크’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꼭 설치… 울주 관광·경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일해공원’ 명칭 변경이냐, 존치냐… 공론화 속도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클럽에 ‘물뽕’ 자가검사 스티커… 서울시, 유흥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서울시 공공와이파이존 1만곳으로 확대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2015년까지 서울시내 무료 와이파이(Wifi)존이 현재 1717곳에서 1만 430곳으로 10배가량 늘어난다. 서울시는 모바일 환경을 개선하고 시정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하는 ‘초(超)협력 전자정부’를 2015년까지 구축하겠다고 29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올 하반기부터 3개 이동통신사와의 협력을 통해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공공 와이파이존을 늘리는 한편 모바일 기기 충전기를 무료로 빌려주는 ‘모바일 충전 서비스’를 실시, IT 환경을 업그레이드하겠다는 복안이다.

시는 개선된 IT 환경을 기반으로 시 소유의 행정 데이터와 이동통신사 등 민간이 구축한 데이터를 합쳐 시민들에게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최적의 심야버스 노선을 찾거나 시민과 택시를 일대일로 연결해 주고 재난을 조기 감지해 대응하는 것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시는 또 현재 15세 이상 인구 10명 중 8명이 갖고 있는 스마트폰 보급률을 활용해 시민이 정책 결정과정에 참여하는 모바일 투표 서비스인 ‘엠보팅’(mVoting)을 12월부터 시작한다고 덧붙였다.

김민희 기자 haru@seoul.co.kr

2013-05-30 15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