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추가피해 우려… 오염확산 방지 차폐막 필요”
김정수 시민환경연구소 부소장은 3일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구미시와 불산 관련 정부 당국이 독성물질인 불산 피해목을 벌채해 놓고 장기간 방치하는 것은 명백한 직무유기”라며 “피해목 방치로 인한 수질 오염 등의 각종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당국은 신속한 처리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다량의 피해목이 노천에 그대로 야적된 관계로 비가 올 경우 고농도의 불소이온이 인근 샛강으로 흘러들어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 뒤 “조류가 피해목에서 돋아난 새순을 쪼아 먹어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 부소장은 “환경 당국은 이 같은 피해가 이미 발생했거나 예상되는 데도 불구하고 모니터링이나 환경영향조사를 제대로 실시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재혁 대구경북녹색연합 운영위원장도 “구미시가 오염물질인 피해목을 차폐막 등의 보호시설 없이 마구 야적해 놓았다는 것은 상식 밖의 행정”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불산 피해 보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해서 오염 물질을 사후 매뉴얼대로 처리하지 않고 대충 취급한다면 또 다른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고 경고한 뒤 “지금 당장이라도 오염물질의 증발 등을 막기 위한 차폐막을 설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는 “불산 사고를 당한 주민들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피해목에 대한 중화 처리작업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구미시에 대한 지도·감독권을 갖고 있는 경북도는 그동안 구미시의 불산 피해목 처리에 미온적으로 대처하다 뒤늦게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도 관계자는 “구미시의 불산 피해목 야적지에 대한 차폐막을 금명간 설치하겠다”면서 “필요할 경우 도 보건환경연구원이나 대구지방환경청과 협의해 주변 지역에 대한 환경 조사도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도는 구미시가 불산 피해지역인 구미 산동면 봉산리 지역에 야적해 놓은 피해목을 100여t 안팎으로 추산했다.
구미시 관계자는 “불산 피해목을 벌채해 소각 위탁업체를 통해 계속 처리 중에 있다”면서 “현재 야적된 피해목은 최근 내린 비로 처리가 지연된 물량”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봉산리 주민들은 “불산 처리목이 상당 기간 처리되지 않고 방치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구미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월 15일부터 불산 피해목 9179t에 대한 처리에 나서 지금까지 전체의 75.3%인 6913t을 처리했다.
시는 당초 2월 말까지 위탁업체를 통해 피해목을 전량 소각 처리할 계획이었으나 소유주와의 보상 협의가 늦어지면서 기간을 오는 9월 말까지로 연장했다.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