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맑은물 국비 10억 확보 구미시 “반대운동 나설 것” 대구시 “국토부 조율 기대”
대구시는 올해 취수원 이전을 전제로 한 경북·대구권 맑은물 공급종합계획 용역 예산 10억원을 국비로 확보했다. 애초 기획재정부가 예산심사에서 대구시와 구미시 간에 합의되지 않았다며 삭감했던 예산이다. 대구시는 이 예산이 취수원 이전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위한 기초조사에 사용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당장 취수원 이전과 직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정부 예산이 확보됨에 따라 취수원 이전의 불씨가 살아났다고 환영하고 있다.
이와 관련, 구미시와 구미지역 시민단체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대구취수원 구미이전반대 추진위원회는 지난 22일 ‘대구시는 더 이상 구미시민을 농락하지 말라’는 성명서를 냈다. 위원회는 “대구시가 맑은물 공급계획 용역 예산 10억원을 확보한 것은 구미시민의 의사를 무시하고 취수원 구미 이전을 다시 추진하려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밝혔다. 또 “2011년 한국개발연구원(KDI) 조사에서 ‘타당성 없음’이란 결론에 따라 중단했던 반대운동을 다시 시작한다”며 “취수원 이전 이후 상수원보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고아읍, 해평면 주민을 중심으로 반대운동에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구미시도 “취수원 이전 문제가 지역 갈등을 더 부추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시가 1990년대부터 구미의 낙동강에서 페놀 사건과 다이옥신 유출 사고 등 수질오염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자 수년 전부터 취수원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끊임없이 먹는 물 공포에서 벗어나는 것은 낙동강 수계 취수원을 구미공단 상류로 이전해야 한다고 판단한 것이다. 대구시는 구미시의 반대가 심하자 당초 취수원 예정지로 지목됐던 도개면에서 13㎞ 하류인 해평면으로 위치를 변경하고, 취수량도 줄이는 방법으로 이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취수원 이전과 관련해 구미시와 상생 발전할 수 있도록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으며 국토부가 거시적으로 잘 조율하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밝혔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