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항로 피해 케이블 변경
“전기 기다리느라 목이 빠져요.”4일 서천군에 따르면 한전 대전충남본부는 지난해 말 전기공급을 목표로 그해 초 공사에 들어갔다. 공사는 전북 군산에서 유부도까지 길이 1.7㎞의 바다 밑 갯벌 2m 속에 케이블을 묻은 뒤 돌을 줄지어 눌러 놓는 방식이다.
하지만 공사 과정에서 항만청이 “이 구간에 케이블을 깔면 어선이 대형 닻을 끌 때 끊어질 수 있다”고 난색을 표했다. 한전이 위험 항로를 피하면서 해저 케이블 길이가 3.5㎞로 늘어났다. 한전은 서천군에 당초 11억 4529만원이던 건설비를 15억 1100만원으로 늘려 줄 것을 요청했고, 군은 군의회를 설득해 이 요구를 들어줬다.
군의회는 “한전이 사전 협의 없이 설계변경을 했다”며 불만을 터뜨렸지만 한전의 유부도 비상발전기와 마을회관 태양광발전시설 등 6개 협력사업 지원 검토가 나오자 건설비 증액을 수용했던 것이다. 한전은 이후 ‘우리가 들어줄 수 있는 사업이 아니다’고 밝혔고, 군의원 등은 대전충남본부를 항의 방문하는 등 소동을 빚었다.
장항에서 5㎞나 떨어져 군산보다 먼 유부도는 45가구 120명의 주민이 살면서 자가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쓰고 있지만 매우 열악하다. 고장이 나면 수리하기까지 1주일은 큰 불편을 겪어야 한다. 여름에는 냉장고 가동이 멈춰 음식물이 썩는다. 겨울철 고통은 더하다. 난방이 안 돼 냉골에서 잠자기 일쑤다. 주민 조씨는 “발전기 고장에 대비해 아궁이를 설치한 집도 꽤 있다”고 전했다. 또 가로등이 모두 꺼지면서 마을이 암흑천지로 변한다.
한전 관계자는 “서천군 오지 마을의 조명기기를 LED로 교체해 주는 조건 등으로 서천군과의 협의가 마무리되고 있어 이르면 5월 이전에 유부도에 전기가 공급될 것”이라며 “6개 협력사업은 군에서 제시했다”고 주장했다.
서천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