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양림 등 타지역보다 저렴 매년 적자… 요금 현실화 목소리
15일 용인시에 따르면 시가 요금 현실화를 검토 중인 시설은 모현면 용인자연휴양림과 포곡읍 시민체육센터, 행정타운 내 청소년수련관, 수지구 용인 아르피아 등 체육 및 청소년 시설이다. 이들 시설은 사용료가 싸고 지역 주민에 대한 사용요금 감면과 무료 개방 등으로 매년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용인자연휴양림의 경우 타 지역 공립 자연휴양림 이용 요금보다 20~30% 저렴한 데다 용인 시민들에게는 입장료를 받지 않고 있다.
입장객의 40%가량이 용인 시민이라 논란도 있다. 용인자연휴양림은 2011년 3억원, 2012년 3억 6400만원, 지난해 2억 3100만원 등 매년 2억~3억원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용인시민체육센터는 수영과 헬스, 요가, 골프 등 프로그램을 운영해 인기가 있지만 다른 지자체보다 요금이 저렴하면서도 지역 주민들에게 요금 감면 혜택을 주고 있다.
지난해 수강료와 임대수입 등으로 12억 8000여만원 벌었지만 인건비와 시설운영비로 20억원이 나가 결국 7억 2200여만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시는 재정적자를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타 시·군의 시설과 사용료를 비교·검토하는 한편 용역 또는 자체 진단을 통해 사용료 현실화 방침은 세웠으나 물가 인상을 부추긴다는 반발을 우려해 선뜻 추진하지 못했다.
시 관계자는 “이들 시설의 적자로 시 재정난을 가중시키고 있으나 시민 편익과 물가안정 차원에서 요금 인상을 최대한 억제해 왔다”면서 “하지만 시 재정으로 적자를 메우는 것도 한계가 있다고 판단돼 사용 요금을 소폭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