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전국 최초로 사유지 없는 국립공원을 목표로 2026년까지 150여억원을 들여 사유지 105필지 259만 8000㎡를 매입하기로 했다.
|
또 올해 한라산 보전을 위해 112억원을 투입한다. 한라산 구상나무 복원 시범포장 2곳을 조성하고, 훼손지 복구사업과 병행해 고지대 취약지표 식물 종에 대한 식생복원에 나선다. 한라산 고지대 재래식 화장실 18동을 항공기 화장실 기법을 도입한 무방류 순환 수세식화장실로 전부 교체한다. 안전한 등산문화 정착을 위해 사고다발 지역에 응급구조요원 10명을 신규 배치하고, 자동제세동기도 18곳으로 확대해 설치한다.
소나무를 재선충병 방제작업도 본격 추진한다. 이달부터 오는 3월까지 국립공원 경계지역에 있는 소나무숲 50㏊에서 재선충병 방제약품 주사작업을 벌인다. 제주도는 매년 나무주사 범위를 확대해 2019년까지 285㏊에 있는 14만 그루의 소나무에 재선충병 방제약품을 투여할 계획이다. 한라산국립공원 전체 면적 1만 5333㏊에 있는 소나무숲 면적은 5.8% 수준이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