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모병원은 정부지원금 1억원과 지방비 등 총 2억원에 자체예산을 들여 외래진료실, 상담교육실, 초음파영상장비 등 최신 산부인과 의료장비를 갖출 예정이다. 산부인과 전문의 1명과 간호사 2명도 확보해 이르면 오는 8월부터 산부인과를 운영할 계획이다.
하지만 분만시설은 마련하지 않는다. 괴산지역은 지난 한해 출생아 수가 125명에 그쳐 분만수요가 매우 적다. 성모병원은 산부인과를 운영 중인 인근지역 대형 종합병원 2곳과 분만시설을 갖춘 개인병원 1곳과 이송체계를 구축해 임산부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괴산지역은 가정분만율이 높았던 1980년대 보건소가 산부인과 공중보건의를 채용해 10년간 모자보건센터를 운영했던 게 고작이다. 이마저도 병원 분만율 증가로 1992년 중단되면서 주민들은 증평이나 청주 등 인근지역으로 산부인과 원정진료를 가는 등 불편을 겪어왔다. 더구나 농촌지역에 많은 다문화가정 산모들은 타 지역 지리에 익숙지 않아 어려움이 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건소의 ‘찾아가는 산부인과’ 사업이 시작됐으나 1주일에 1번만 운영하면서 큰 도움을 주지 못했다.
김금희 군 보건소장은 “산부인과가 없다 보니 응급상황에 대처하지 못하고 산부인과 암 검진을 받지 못하는 등 문제가 적지 않았다”며 “산부인과 개설로 의료취약지역이란 주민들의 박탈감 해소와 출산증가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외래산부인과조차 없는 곳은 충북지역에서 단양군이 유일하게 됐다. 분만시설을 갖춘 산부인과가 없는 지역은 괴산, 단양, 보은, 옥천, 증평, 음성 등 아직도 6곳이다..
괴산 남인우 기자 niw7263@seoui.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