탓, 탓, 탓만 하다 땜질처방… 정부 ‘전산망 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노들 글로벌 예술섬’ 설계 공모작 공개심사한다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선출직 구청장도 ‘이름 비공개’… 너무 나간 악성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가요·퓨전국악·탱고까지… 용산 ‘가족콘서트’ 한마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토종닭 사라진지 오래... 복원한 재래닭도 10% 미만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토종닭이 사라지고 빈자리를 ‘재래닭’이 채워가고 있다.

1일 충북도 축산위생연구소 등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사육되는 닭 가운데 우리나라의 순수혈통을 유지하고 있는 일명 ‘토종닭’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전문기관들은 ‘토종닭’ 대신 ‘재래닭’이라는 표현을 쓴다.


충북도 축산위생연구소 엄주광 팀장은 “삼국시대부터 농가에서 키웠던 닭을 ‘토종닭’이라고 하는데 연구기관들은 거의 사라진 것으로 보고 있어 ‘토종닭’이라는 단어를 잘 쓰지 않는다”며 “옛 문헌 등을 참고해 토종닭을 복원한 것을 재래닭으로 부른다. 현재 재래닭은 국내 닭 가운데 10% 미만”이라고 말했다.

토종닭이 사라진 것은 아픈 역사와 깊은 관계가 있다.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면서 양계업이 활성화하자 토종닭은 산란 수가 적고 성장이 더디다는 이유로 일본에서 들여온 개량종에 밀려났다. 이어 한국전쟁으로 개체 수는 더욱 줄었고, 전후 복구사업의 일환으로 외국 개량종이 일시에 대량 도입되었다.

한국 고유의 닭은 1980년대 복원사업이 시작되면서 다시 주목받았다. 전국의 연구기관들은 농가에서 키우는 닭 가운데 토종닭과 유사한 것을 수집해 외래종의 특성이 제거된 순수계통의 우리 닭 복원했다.

복원된 재래닭은 외래종에 비해 위풍당당한 장방형의 체형에 두께가 얇은 홑볏과 단단하고 조금 굽은 부리, 타원형의 귓불 등 고문헌을 통해 확인된 우리 닭의 외모적 특성을 모두 가졌다. 색깔은 황갈색, 흑색, 흑갈색, 백색 등 총 4종이다. 식용으로 팔려면 6개월 정도 키워야 했다. 외래종들은 40일 정도만 키우면 내다 팔 수 있다. 현재 충북도 축산위생연구소에는 400마리의 재래닭이 사육되고 있다.

엄 팀장은 “재래닭으로 삼계탕을 끓이면 육수가 진하고 깊은 맛이 있다”며 “귀농자나 애완용으로 닭을 키우려는 분들이 분양을 받아가고 있다”고 했다.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